|
[이데일리 신하영 기자] 자율형사립고(자사고) 폐지정책이 강남 8학군 쏠림 현상을 초래할 것이란 주장에 대해 교육부가 반박자료를 내놨다. 강남 8학군 쏠림현상은 자사고 정책과 무관하게 진행돼 왔다는 논리다. 하지만 서울에서 자사고가 본격 운영된 뒤 오히려 강남 8학군 지역 유입인구가 분산된 측면도 있어 반론의 빌미를 제공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교육부는 1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단 간담회를 열고 이러한 자료를 공개했다. 강남 8학군(강남·서초구) 쏠림현상은 자사고 정책과 무관하게 진행돼 왔다는 게 골자다. 이에 따르면 전출 학생을 뺀 강남 8학군(강남구·서초구) 전입 학생은 2017년을 제외하면 10년간 꾸준히 2000명 이상을 유지했다. 2009년 7690명까지 증가했지만 2016년과 2017년 각각 2143명, 1748명으로 감소한 뒤 2018년 2298명으로 반등했다.
하지만 교육부의 이런 논리에 대해선 반론이 가능하다. 서울에 자사고가 본격 개교한 시기는 2010년~2011년 사이다. 강남 8학군 순 유입 인구는 2009년 7690명까지 치솟았지만 2010년 자사고가 운영된 뒤부터 4784명(2010년), 3609명(2011년), 3313명(2012년)으로 감소했다. 서울 전 지역에서 자사고가 생긴 게 오히려 강남 쏠림을 막고 분산효과를 가져왔다는 분석도 가능한 것.
그러나 이러한 주장도 20%의 학생에게만 적용되는 논리다. 현재 서울시 고교 배정은 3단계 방식으로 이뤄진다. 1단계서 학군과 관계없이 서울 전 지역 고교 중 2곳을 지망, 여기서 20%의 학생이 배정을 받는다. 반면 학생 40%가 배정되는 2단계에선 거주지가 포함된 학군 내에서 2곳을 선택해 지원하게 된다. 1·2단계에서 고교 배정을 받지 못한 나머지 40%는 3단계에서 통학편의를 고려, 거주지가 속한 학군 내로 배정을 받고 있다. 2018학년도 기준 타 학군으로 배정된 비율 중 강남·서초 배정비율은 4.1%에 불과했다.
이 때문에 교육계에선 여전히 자사고 폐지 후 강남 쏠림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임성호 종로학원하늘교육 대표는 “서울지역 상당수 자사고가 일반고로 전환돼도 1·2지망 때 거주지 인근의 명문고로 지원하는 현상은 여전할 것이며 아예 초등학교 고학년부터 교육특구로의 전입을 검토할 수 있다”며 “다만 강남 8학군의 경우 입시정책보다는 부동산 가격에 따른 장벽이 진입장벽 역할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강남 8학군에 쏠리는 수요가 있더라도 교육정책이 아니라 부동산 장벽 탓에 ‘가고 싶어도 못가는 지역’이 될 공산이 크다는 분석이다.
교육부는 자사고의 일반고 정책의 타킷으로 서울지역을 지목했다. 서울에 자사고가 과잉 공급돼 교육정책을 왜곡시키고 있다는 논리다. 교육부에 따르면 전국 42개 자사고 중 52.4%(22개교)가 서울에 편중돼 있다. 서울만 놓고 보면 일반고(189개교) 대비 자사고 비율은 11.6%로 전국 평균(2.8%)보다 4.1배 높다. 학생비율로 보면 일반고 대비 자사고 비율은 14.2%로 전국 평균(2.8%)을 5배 상회한다. 교육부 관계자는 “서울지역은 자사고가 과도하게 남설(濫設)돼 있어 과잉 경쟁을 유발했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