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와 포항 지역에 풍부하게 매장돼 있는 점토광물 몬모릴로나이트를 활용한 플랫폼 기술(MODS)로 기존 약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개량신약을 개발하는 신생 바이오기업이 있어 화제다. 김원묵 바이오파머 대표를 5일 서초구 서울 본사에서 만났다.
김원묵 대표는 “간암 1차 치료제 소라페닙(대표 상품명 넥사바)을 몬모릴로나이트에 분자 상태로 끼워넣으면 체내흡수율이 26배까지 향상되는 결과를 동물(쥐)실험에서 확인했다”며 “최적화 연구를 진행 중이며 내년 비임상 시험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소라페닙은 독일 바이엘사가 개발한 경구용(입으로 먹는) 표적항암제로 단일 매출이 1조원에 이른다. 체내흡수율이 높아지면 약효가 좋아지고 3번 먹던 약을 1번만 먹어도 돼 부작용이 줄고 복용 편이성이 높아지는 데다 약값도 절약된다.
바이오파머는 약의 전달과 방출 등을 제어하는 약물전달시스템(DDS)을 활용해 기존 화학합성의약품을 개선하고 있다. DDS란 물에 잘 안 녹는 약을 물에 잘 녹게 하고 표적으로 하는 장기나 몸에서 약 방출과 속도를 조절하는 기술이다. 약은 엉뚱한 곳에서 방출되면 약효가 없고 부작용이 발생한다. 너무 방출 속도가 빠르면 약효가 금세 사라져 약을 자주 먹어야 한다.
김 대표는 “점토광물은 판상형(넓은 판)의 독특한 구조를 띠고 높은 이온흡착 성질, 부피가 잘 늘어나는 특성이 있어 그 사이에 약물을 끼워넣을 수 있다”며 “산성이나 알칼리성 정도를 나타내는 pH(수소이온농도지수) 의존적인 방출을 하게 해 강한 산성 위에서는 약물을 방출하지 않고 중성의 장에서는 약물을 방출하게 한다”고 설명했다.
몬모릴로나이트 활용 기술은 신생 바이오벤처가 보유한 기술이지만 한국지질자원연구원(지자연)과 서울대 약대가 5년간 공동연구한 작품이다. 사실 바이오파머는 이 기술 성과를 사업화하기 위해 지난해 7월 탄생했다. 지자연이 보유한 특허 일부를 현물 출자받아 설립한 연구소기업이다. 연구소기업은 정부 출연연구원 지분이 일정 부분 이상일 경우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별도 인증을 통해 지정한다. 현재 지자연은 바이오파머 지분 29.8%를 갖고 있다.
김 대표는 서울대 약대 출신으로 원료의약품 업계에서 35년을 일한 업계 ‘터줏대감’이다. 2018년 지자연의 몬모릴로나이트 활용 기술에 대한 상업화 컨설팅을 해주다 이 기술에 대한 믿음을 바탕으로 아예 창업회사 대표 제의를 수락했다.
현재 회사는 소라페닙 개량 신약 간암 치료제와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 항상제 내성과 관련된 설사 증상을 보이는 CDI(클로스트리듐 디피실 감염증)치료제, 소화성 궤양, 고혈압 치료제 등의 파이프라인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