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투자은행(IB)업계에서는 지난해 국내 최대 종자업체 농우바이오(054050) 인수전 당시 농협경제지주에 석패한 MBK파트너스, IMM PE 등 대형 바이아웃(경영권 지분 매매)펀드들이 이번 동부팜한농 인수에 적극 나설 것으로 관측했었다. 하지만 뚜껑을 열어본 결과 LG화학(051910), CJ제일제당(097950) 등 대기업계열그룹인 전략적 투자자(SI)들만 입찰에 나섰다.
IB업계에서는 PEF의 불참 이유로 농우바이오에 대한 학습효과를 꼽고 있다. 농우바이오 인수전 당시 안좋은 기억이 이번 동부팜한농에서도 재연될 것이라는 우려가 작용했기 때문이라는 얘기다.
농우바이오 인수전 당시를 되돌아가보자. 농우바이오는 창업주인 고희선 명예회장이 2013년 8월 갑작스럽게 별세하면서 매물화됐다. 하지만 고 명예회장이 보유한 45.4%를 물려받게 된 외아들 고준씨는 1000억원이 넘는 상속세를 마련하기 위해 경영권 인수자를 찾는 작업을 진행했다. 당시만 해도 종자산업은 진입장벽이 높고 정부 지원을 받는 업종이어서 농우바이오 인수에 많은 국내외 기업이 관심을 가졌다. MBK파트너스와 IMM PE 등도 적극적으로 인수에 나섰다.
당시 인수전에 참여했던 IMM PE 관계자는 “농우바이오 인수전 당시 해외에 매각하지 않겠다고 했지만 종자주권 논리에 결국 농협에 밀리고 말았다”고 아쉬워했다.
국내 농약시장의 27%, 비료·종자시장의 19% 점유율을 각각 차지하고 있는 동부팜한농도 우리나라 농민을 대상으로 한 기업이라는 점에서 농우바이오와 유사한 매물로 평가된다. PEF가 쉽게 인수의사를 타진할 수 없는 정서적 괴리가 큰 매물인 셈. 실제 오릭스그룹이 동부그룹에 동부팜한농 인수를 제안하자 곧장 종자주권 논란이 제기될 만큼 민감한 반응이 나왔다.
PEF가 동부팜한농 인수를 꺼린 또 다른 이유는 수익 상승 잠재력이 낮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전통적으로 내수시장을 겨냥한 농약과 비료 등은 생산비가 많이 들지만 농민을 대상으로 한 사업영역이기 때문에 생산비대비 가격정책이 탄력적이지 못한 특징이 있다. 이는 다양한 제품군과 서비스 다양화, 유연한 가격정책 등에 따른 기업가치 제고와 함께 수익성을 추구해야 하는 PEF 특성에 정면 배치된다.
동부팜한농의 올 3월말 현재 순차입금은 4000억원 수준이며 연결기준 매출 및 영업이익은 각각 전년대비 4%, 112% 증가한 2499억원, 467억원이었다. 국내 비료·농약 시장 성장성이 그리 크지 않다는 점을 고려하면 매각을 앞둔 반짝 실적 개선이 아니냐는 의견도 있다.
PEF가 모두 불참한 가운데 대기업계열사가 참여한 이번 매각이 실제 성사될 가능성을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의견도 우세하다. 이재현 CJ그룹 부회장이 부재한 상황에서 오너의 결단이 필요한 대규모 인수·합병(M&A) 추진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실제 10월중 예정된 본입찰에서 유력후보인 CJ가 불참할 경우 딜의 종결 가능성은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