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8일 결핵예방관리 강화대책을 발표하며 이같은 일성을 밝혔다. 현재 ‘결핵퇴치’ 기준은 결핵발생률 인구 10만명 당 10명 미만이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10만명 당 70명에 이른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UN의 경우 2035년까지 결핵을 끝내겠다는 게 목표”라며 “우리나라는 그보다 5년을 당겨서 2030년까지는 현재 OECD 수준인 10만명 당 10명 발병률로 낮추겠다는 것이 이번 정부의 확고한 의지”라고 설명했다.
과연 가능할까. 결핵은 결핵균에 의한 호흡기 전파된다. 폐결핵 환자로부터 나온 미세한 침방울이 폐로 들어가 결핵균에 감염된다. 6·25전쟁 이후 빈곤상황을 겪으며 결핵균이 창궐했고 현재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상태다. 실제로 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국민 3명 중 1명이 결핵에 감염된 것으로 조사됐다.
성인용 예방백신이 없다는 점도 결핵 퇴치의 어려움 중 하나다. 영아용 BCG백신은 어린이의 뇌수막염 등 중증결핵을 예방하지만 성인용 예방백신의 경우 개발되지 않은 상태다.
정부는 결핵관리 사각지대를 없애고 조기진단을 통해 치료 효과를 높이며 생애주기별, 대상집단별 결핵발생 범위를 전방위로 확대해 보다 촘촘한 관리를 하겠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성인용 예방백신 개발 등도 추진해 결핵환자 감소세에 가속도를 내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우선 5개년 계획을 중심으로 접근해 연평균 환자발생률을 줄여나가겠지만 확대되는 영역은 앞으로 많이 있다”며 “공기 매개로 전파되기 때문에 외부적인 경제효과까지 따지면 (결핵환자 감소에) 큰 효과까지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