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전세대출의 연령별 차주 구성을 보면 절반 이상을 20~30대 청년층이 차지했다. 6월 말 기준 20대 차주 수는 30만6013명(22.2%), 30대 차주 수는 54만2014명(39.4%)으로, 20∼30대 차주가 전체의 61.6%다. 대출 금액 기준으로도 20~30대 전세대출 잔액은 93조9958억원으로 전체의 55.6%를 기록했다.
금융권 안팎에서는 이 같은 대규모의 변동금리형 전세대출이 향후 가계대출 부실의 뇌관이 될 수 있다며 우려하고 있다. 20~30대 청년층들은 상대적으로 소득이 적어 금리 인상으로 인한 이자 부담에 더 취약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전세대출은 2년 단위로 짧아 은행에서는 당장 고정금리보다 낮은 변동금리를 권유해 왔다”며 “올해는 이례적으로 금리 인상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일선 현장에서 고정금리와 변동금리의 차이점과 특징을 고객들에게 명확히 안내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전세대출은 고금리 변동·혼합형 주택담보대출을 최저 연 3.7% 고정금리로 갈아타게 해 주는 안심전환대출 대상에도 제외되는 등 상대적으로 이자 부담을 덜 수 있는 방안이 많지 않은 상태다.
정치권에서는 금융당국의 보다 적극적인 조치를 촉구하고 있다.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12일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2030세대의 전세 대출만 100조원 규모다”며 “신혼부부와 청년층 등이 대상이니 만큼, 금융 취약계층이 과도한 빚 부담을 떠안아 부실화되지 않도록 특단의 조치가 강구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전세자금 변동금리대출의 고정금리 전환을 서둘러야 한다”며 “안심전환대출 접수가 목표액 10%에 그쳤는데, 대폭 확대 등을 비롯해 금융당국의 적극적인 행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기준금리 인상은 불가피한 측면이 있지만 그 과정에서 등장하는 취약 차주에 대한 대응은 필요하다”며 “다만 전세대출의 경우 일괄적으로 지원해 주기는 어렵고 만약 지원한다면 소득이 낮은 사람들을 대상으로는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