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 출신인 박종철 열사는 1987년 1월 14일 서울 언어학과에서 재학 중 경찰에 강제 연행돼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고문을 받다 숨졌다. 당시 경찰은 “책상을 탁 치니 억하고 죽었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해 공분을 산 바 있다. 이는 1987년 6월 항쟁의 도화선이 되기도 했다.
정씨는 남편 박정기씨가 2018년 세상을 떠난 뒤 부산에서 홀로 지내다 건강이 악화돼 2019년 서울 강동구 소재의 요양병원에 머문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빈소 앞에는 정치권 등 사회 각계에서 보낸 조화들로 가득했다. 정치권에서는 대표적인 86(80년대 학번·60년대생) 운동권 출신 정치인인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가장 먼저 빈소를 찾았다. 우 의원은 “(고인과) 가족처럼, 한 식구처럼 지냈다”며 “(고인이) 그리 보고 싶어 하셨던 자식을 만나러 가셨으니 좋으실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이 센터장을 비롯해 우 의원 등은 ‘민주유공자 예우에 관한 법률(민주유공자법)’ 통과를 촉구했다. 현재 더불어민주당은 4·19혁명, 5·18민주화운동을 제외한 민주화 운동의 사망·부상자, 가족 또는 유족을 예우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민주유공자법을 발의했으나 법안은 아직 국회에서 계류 중이다.
이 센터장은 “아들이 명예롭게 역사에 기록되는 게 바로 민주 유공자로 인정받는 것이었는데 이를 보지 못하고 돌아가셨다”고 아쉬움을 표했다. 우 의원은 “민주유공자법 처리를 이번에 하기로 약속했다”며 “적어도 국가공권력에 의해 희생된 분들과 민주화를 위해 싸웠던 분들을 민주유공자로 지정하는 것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주당 역시 이날 논평을 내고 “국가 폭력에 자식을 잃고 그 상처 속에 아파하며 아들을 그리워하셨던 고인을 애도하며 영면을 기원한다”며 “정차순 여사는 아들의 죽음을 계기로 평생을 민주화를 위해 사셨다. 그런 어머니께서 91세를 일기로 아들의 곁으로 떠났다”고 고인을 기렸다.
발인은 19일 오전 8시이며 장지는 아들 박종철 열사 등 민주화운동을 하다 희생된 민주 열사들이 모여 있는 모란공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