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기 주택 공급방안은 △신혼·다자녀·고령자 등에게 시세의 50% 이하 임대료로 공급하는 신축매입약정 △3~4인 가구에 시세의 90% 이하에 공급하는 중형 크기의 공공 전세주택 △1인 청년가구에 시세 50% 이하에 임대하는 비주택 리모델링으로 구분된다. 1~2년 내 입주할 수 있다는 게 특징이다.
하지만 실제 계약이 완료된 건수는 기대에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다. 지난달까지 신축매입약정은 1358가구에 대한 약정계약을 체결했으며, 공사기간을 감안하면 올 하반기에나 입주자 모집이 가능할 전망이다. 당초 목표 대비 10%도 되지 않는 물량이다. 3~4인용 공공전세의 경우 전세난이 집중되고 있는 서울 공급 비중이 너무 적다는 지적이다. 공공전세 신청건수를 살펴보면 수도권 5200가구, 비수도권 4400가구인 가운데 서울 물량은 940가구에 불과하다. 6월부터는 서울시 노원구·금천구, 인천시 서구 등에서 입주자모집공고에 나설 계획이나 이들 지역의 물량을 모두 합해도 500가구 안팎이다. 지난달까지 총 계약 건수는 880가구에 그친다.
비주택 리모델링은 아직 현장조사 및 매입심의 단계다. 현재 주택으로 리모델링이 가능한지 여부도 불분명하다는 얘기다. 결과적으로 4월 말까지 단기 주택공급방안으로 계약 완료된 가구 수는 2238가구에 불과하다.
전문가들은 이번 공급 물량 대부분이 다세대·오피스텔 등 ‘비아파트’로 국한돼 있다는 점을 한계로 지적한다. 윤지해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이번에 나온 물량중 실질적으로 수요자들이 선호하는 아파트 물량은 없다”면서 “전세시장 안정화에 실질적인 효과가 있을지는 의문”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