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 대통령은 동남아 순방을 마치고 16일 새벽 귀국했다.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열린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에 참석했고, 이를 계기로 한미·한일·한미일 정상회담을 가졌다. 이후 인도네시아 발리로 이동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첫날 일정을 소화했으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취임 후 첫 한중 정상회담을 열었다. 전문가들은 이번 순방 결과를 복기하고 분석해 앞으로 어떻게 적용 발전시키느냐가 숙제라고 입을 모았다.
윤 대통령은 미중 경쟁이 치열하게 펼쳐지는 아세안을 무대로 한국판 인도·태평양(인태) 전략을 발표했다. 인태 지역에서 중국의 영향력이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한 미국의 구상에 한국이 보조를 맞추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미일 3국이 연쇄 회동을 통해 발표한 프놈펜 성명에서 러시아를 겨냥한 우크라이나 침공과 중국을 겨냥한 남중국해 문제가 언급된 것도 기존 입장보다 한발 나아간 것으로 여겨진다. 또 3국이 북한 미사일 경보 정보를 실시간 공유하기로 한 것은 문재인 정부 시절 존폐 위기에 처했던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을 뛰어넘는 수준의 안보협력으로 평가된다. 국제 정세가 급변하는 상황에서 우리 노선을 보다 선명하게 드러내는 게 국익에 부합한다는 판단이 반영된 결과다.
한일 정상의 만남은 지난 9월 뉴욕 유엔총회 참석 계기 ‘약식 회담’에 이어 두 번째로 성사됐다. 양국 정상은 강제징용 배상 관련 가시적인 해법을 도출하지는 못했으나 조속한 해결을 위해 노력하는데 공감대를 이뤘다. 박영준 국방대 안보대학원 교수는 “한미일 간 협력을 강화하고 싶어도 한일 간 신뢰 회복이 선행되지 않으면 안 된다”며 “이번 회담을 계기로 실무 협의가 촉진되고 일본 수출규제를 포함해 단계적 해결이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윤 대통령은 미국과 일본뿐 아니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도 회담하며 중국의 대미경사(미국으로 기울어짐) 우려를 일정 부분 해소했다. 동시에 양국 정상 발언 곳곳에선 여전한 신경전도 감지됐다. 특히 윤 대통령은 “보편적 가치와 규범에 기반해 국제사회의 자유와 평화, 번영을 추구하는 게 우리 정부의 외교 목표”라고 했는데, 이는 미국 주도의 국제 질서에 따르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북핵 문제도 주요 화두로 오르내렸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한국은 중국의 역할을 강조했지만, 중국은 한국이 남북관계를 풀어야 한다고 강조함으로써 서로 상대방이 먼저 역할을 해야 한다는 관점의 차이를 드러냈다”고 지적했다.
다만 바이든 대통령이 미중 정상회담에서 북핵 문제를 계속 방치하면 미국의 군사적 비중이 늘어날 것이라고 경고한 만큼, 북한의 제7차 핵실험이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등 중국에 영향 미칠 수 있는 도발은 당분간 제동이 걸릴 것으로 전망했다. 양 교수는 이어 “북한은 연말까지 숨고르기 국면”이라며 “자체 동계훈련, 연말 과업성과 평가 및 신년사 준비 등 내부 체제 결속에 주력할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