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일본, 대만, 태국에서 성공적으로 적용됐다. 일본과 대만, 태국 모두 현지 사장과 현지 직원들이 주축이 됐다. 사실상 현지 기업이다. 덕분에 라인은 일본과 태국 등에서 국민 메신저로 발돋움했다.
라인은 앞으로의 지향점도 제시했다. 스마트폰 시대에 맞는 ‘스마트포털’이다. 단순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에서 벗어나 사용자의 필요를 능동적으로 충족시키는 서비스다. 정보를 나열했던 PC 시대 포털과는 다른 개념이다.
|
신 CGO는 “2008년 일본으로 가게 됐는데 이해진 의장으로부터 백지에서 시작하고 조직을 만들어라라는 말을 들었다”며 “선입견을 갖고 일하면 안된다고 여겼던 게 일본 현지화에 컸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라인의 역사는 현지화의 역사”라며 “우리보다 몇 십배 큰 기업들과 같은 방식으로는 싸울 수 없다”고 단언했다. 미국 실리콘밸리 기업처럼 자신들의 표준을 현지 국가에 강요해서는 살아남을 수 없다는 뜻이다.
이 같은 문화는 태국 현지에 나온 태국 국민만을 위한 서비스 출시로 이어졌다. 라인맨은 대표적인 태국 특화 서비스다. 태국인들이 배달 주문을 많이 하고 외식 음식을 선호한다는 점에서 착안했다.
신 CGO는 “라인맨 같은 경우에는 처음에는 반대했다”며 “하지만 태국인들의 생홀 패턴을 보고 라인맨 출시에 동의했다”고 말했다.
신중호 CGO는 사용자들의 스마트폰 사용 패턴에 따라 새로운 형태의 포털‘스마트포털’도 언급했다. 모바일 사용자에 특화된 포털 서비스로 라인의 지향점이기도 하다.
또 “최근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앱들을 많이 안 깐다”며 “100개 앱을 깔아서 100개의 일을 하는 것보다 내가 다 필요한 것을 (하나의 앱으로) 하는게 포털인 것 같다”고 부연했다.
신 CGO는 “스마트포털에 대해 설명하자면 1시간도 모자란다”면서도 “스마트폰에 특화된 포털일 수도 있고 (사용자의 필요를 빠르게 충족시켜) 스마트 포털일 수 있다”고 말했다.
스마트폰에 특화된 포털 서비스를 생각하게 된 계기는 사용자들의 생활 행태가 PC 시대와 판이하게 바뀌었기 때문이다. 신 CGO는 “스마트폰 시대가 되면서 잘 때도 스마트폰을 끼고 산다”며 “실제 쓰는 (인터넷에 접속해 스마트폰을 쓰는 시간은) 24시간 구조로 갔다”고 전했다.
그는 “스마트폰 시대에서는 내가 구체적으로 뭘 원하지 않아도 수요를 충족시켜야 한다”며 “푸시형 서비스가 될 수 있고 검색과 제안 서비스로도 봐야할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