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9월 다소 상승세가 꺾이는가 했지만 10월 들어 다시 오름세로 전환하면서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대형마트가 경쟁적으로 펼쳤던 할인전마저 축소되는 가운데 ‘더 싸게’ 상품을 살 수 있는 방안 찾기에 한창이다.
|
특히 구입 빈도와 지출비중이 높은 품목으로 작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6.5% 상승했다. 계절 및 기상조건에 따라 가격변동이 큰 품목으로 구성된 신선식품지수는 같은 기간 11.4% 올랐다. 자가주거비포함지수는 4.9% 상승했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김장철을 앞두고 채소 가격이 여전히 불안하다”며 “유통점들이 다양한 할인전을 펼치고 있지만 소비자들이 체감하기에는 아직도 물가가 비싼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특히 고물가 시대에 ‘물가 안정 최전선’을 자처했던 대형마트가 속속 할인전을 중단하면서 소비자 체감 물가 상승폭은 더 클 것으로 보인다.
최근 이마트(139480)는 연말까지 진행하기로 했던 ‘가격의 끝’ 행사를 중단했다. 낮은 마진율로 ‘파격 반값’ 전략을 계속 이어가기 어렵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코로나19를 거치며 이커머스에 시장을 내줬던 대형마트의 실적이 여전히 부진을 면치 못하는 가운데 가격 파괴 마케팅은 애초 장기적으로 지속하기 어려웠다는 분석도 나온다.
신세계, 현대, 롯데, 갤러리아 등 백화점도 기간 중 패션, 리빙 부문 등에 대한 기획 행사와 함께 상품권 증정 등 고객 사은행사를 진행한다. 가전업계에서는 삼성전자, LG전자 및 오텍캐리어가 TV,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 주요 가전 제품을 최대 25 또는 30%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한다.
전문가들은 지금처럼 고물가 지속 상황에서는 국지적인 할인전을 잘 활용하되 한동안은 소비 자체를 예전보다 줄이는 방법뿐이라고 강조한다.
서용구 숙명여대 경영학과 교수는 “지금 인플레이션 현상은 수요 급증이 아닌 글로벌 공급망 붕괴 때문”이라며 “외부 환경 요소로 40년 만에 초고물가 시대를 겪고 있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소비자 입장에선 고물가 현상으로 가처분소득이 10% 이상은 강탈당한 셈”이라며 “이젠 구매력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당분간은 소비를 줄이며 대응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