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는 ‘태풍재해복구TF’를 꾸려 침수된 수전변전소 복구 작업과 함께 생산라인 일부는 광양 제철소로 전환해 생산 차질 등 피해 대응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다만 복구 작업이 장기화할 경우 철강재 생산 차질로 인한 자동차·조선업계 등 전·후방 연관 산업으로의 연쇄 피해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
포스코 관계자는 “폭우에 포항제철소 인근 하천인 냉천의 범람까지 발생하면서 제철소 상당 부분이 침수됐다”며 “특히 침수 피해가 상당한 열연 생산라인 등 제품 생산 공정에 대해 복구 작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현재로서 재가동 시점을 가늠하기는 어려운 상태”라고 말했다.
문제는 고로가 언제 재가동될지 모른다는 점이다. 공장 가동에 필수적인 발전·송배전 시설이 침수 피해를 직접적으로 맞았기 때문이다. 포스코는 제철소 대부분의 전력을 자가 발전을 통해 충당하고 있다. 재가동이 늦어질 수록 생산 차질로 인한 수천억원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포항제철소는 열연 220만톤(t), 후판 338만t, 선재 274만t, 냉연 291만t 등 연간 1685만t(2021년 기준)의 철강재를 생산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포항제철소의 매출액은 18조4947억원으로 포스코홀딩스 전체 매출액의 24.2%를 차지한다.
포스코 관계자는 “침수된 수전변전소의 경우 1~2일 내로 우선 정상화시켜 복구 작업에 물꼬를 튼다는 계획”이라며 “포항제철소 생산 슬라브 일부를 광양제철소로 전환하고, 광양제철소의 생산량을 최대한 늘려 생산 차질에 대응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포스코는 향후 전체적인 피해 규모와 추가적인 조업 정상화 계획도 순차적으로 발표할 예정이다. 최 회장은 “임직원들이 힘을 모아 최대한 안전하고 신속하게 피해를 복구하고 조업을 정상화해 국가와 지역 경제에 영향이 없도록 하겠다”며 “수해 복구를 위해 그룹 차원에서 그룹 차원의 총력 지원과 대응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