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기술이전 전후 14일간의 동아에스티(170900) 주가를 살펴보면 기술이전 전날까지 14% 상승했지만, 기술이전 계약 체결 후에는 무려 17%가 하락했다. 3월 31일 중국 치루제약과 6161억원 규모 기술수출 계약 체결 소식을 알린 펩트론(087010)도 일주일 전(3월 24일)부터 31일까지 주가가 약 8.3% 상승했지만, 이후 일주일 동안 약 17%가 하락했다. 이 외 6월 18일 영국 익수다와 9200억원 규모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한 레고켐바이오(141080)도 유사한 주가 흐름을 나타냈다.
지난 6월 8일 위식도역류성질환 치료제 신약 펙수프라잔을 미국 뉴로가스트릭스에 4800억원에 기술이전 한 대웅제약(069620)도 전날 주가가 4% 상승했지만, 기술이전 발표 당일에는 5%가 하락했다. 7월 20일 인도 제약사 인타스와 총 1억500만 달러 규모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한 동아에스티도 비슷한 주가 흐름을 보였다.
|
최근까지도 기술수출 계약이 성사되면 스포트라이트는 총 계약규모를 향했다. 하지만 기술반환 사례가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기술수출 계약 형태(반환의무 없는 계약금과 마일스톤)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면서 기술수출에 대한 회의론이 팽배하고 있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특히 기술수출 이후 주가가 고전하는 현상은 복합적인 현상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허혜민 키움증권 연구원은 “기술수출 소식이 전해지면 셀온(Sell-on) 뉴스로 인식되면서 당분간 추가 기술이전이 없을 것이라는 우려감이 반영되고 있다”며 “기술이전 후 글로벌 블록버스터로 성장하는 성공 사례가 부재한 것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국내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2015년부터 기술이전 한 주요 40건 이상의 기술이전 품목 중 글로벌 시장 문턱을 넘은 것은 한 건도 없다. 반면 반환된 품목은 10건에 달한다.
글로벌 행사發 기술이전 미팅 소식도 뜬구름?
최근 만난 한 바이오 기업 대표는 “보통 글로벌 행사에 참여하면 기술이전을 위한 해외 기업들과 수십 차례의 미팅을 한다. 하지만 해가 지날수록 미팅을 하는 횟수는 급격하게 줄어든다”며 “보통 상대 기업의 내실을 따지기보다는 전단지 뿌리듯 자료를 전달하는 수준에 그치는 경우가 많고, 실제 진지하게 기술이전을 논하기 위한 미팅은 소수에 불과하다”고 귀띔했다.
전문가들은 기술수출 옥석을 가리기 위해서는 기술을 도입하는 기업들의 움직임을 체크하고 그들의 관심 분야가 무엇인지 찾아볼 필요가 있다고 설명한다. 허 연구원은 “기술을 도입하는 빅파마 입장에서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도입한 물질을 개발해 출시까지 생각해야 하므로 잘 팔릴 것인지를 고려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치열한 점유율 경쟁을 하는 기업 중 다소 밀리거나, 점유율 방어가 필수인 기업에게 우리가 개발한 신약 파이프라인이 도움 될 수 있다면 빅파마에 대규모 기술이전 가능성은 매우 커진다. 이러한 퀄리티 딜은 계약 이후에도 양호한 주가 흐름으로 이어진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