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1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2025년 업무보고’에서 이같이 밝혔다.
|
작년 국토부는 자율주행 소프트웨어(SW) 스타트업 ‘라이드플럭스(RideFlux)’에 대해 자동차관리법상 임시 운행 허가를 내렸다. 이에 따라 라이드 플럭스는 작년 11월부터 두 달간 운전석에 사람이 탑승한 채 자율주행 실증 실험을 진행했고, 올 상반기에는 운전석이 아닌 조수석에 탑승한 채 실증 실험을 할 예정이다. 이후 하반기에는 자동차에 사람이 아무도 타지 않은 채 무인(뒷자리 탑승)으로 자율주행 실증에 돌입한다. 완전 무인 자율주행 실증은 국내 최초다.
라이드플럭스 무인 자율주행 차량이 상암동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 순환구간(3.2km)을 시속 50km 이내의 속도로 달릴 예정이다. 무인 자율주행 기간은 별도로 정해져 있지 않고 라이드플럭스가 원하는 만큼 실증이 가능하다.
국토부는 이를 두고 자율주행 4단계 상용화를 위한 전 단계라고 설명했다. 4단계는 ‘해가 떠 있는 도로’ 등 특정 조건에서 차량이 모든 주행을 담당하며 운전자 개입이 필요하지 않는 단계를 말한다.
자율주행 기술이 가장 발달한 미국의 경우 알파벳 자회사 웨이모(Waymo)가 샌프란시스코, LA, 애리조나주 피닉스에서 무인으로 로보택시를 운영, 상용화하고 있다. 미국 역시 실증을 한 지역 내에서만 로보택시를 운영하는 ‘4단계’ 상황이다. 다만 우리나라에선 자율주행 4단계가 상용화되려면 시간이 더 걸릴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은 네거티브 규제로 기술만 되면 상용화할 수 있지만 우리나라는 기술이 되더라도 사회적 공감대, 법적 허용 등이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상용화와 무관하게 자율주행의 기술적 실증은 한층 더 강화될 예정이다. 전국 고속도로(약 5200km)가 자율주행 자동차 실증을 위한 ‘시범운행지구’로 변신한다. 작년 말 수도권에서 옥천까지 330km 구간의 고속도로를 시범운행지구로 지정했는데 이를 전국으로 확대한다. 국토부는 1분기 내로 인터체인지(IC) 구간 등 일부를 제외하는 네거티브 방식으로 전국 고속도로를 시범운행지구로 지정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전국 곳곳에서 자율주행 실증 작업이 이뤄지고 있으나 대부분 도심에서 이뤄져 중저속 단거리 위주의 실증이 주를 이뤘다”며 “고속도로에서의 자율주행은 최고 시속 100km로 장거리 실증이 가능해진다”고 밝혔다.
|
농어촌이나 새벽·심야시간 등 대중교통이 부족해 이동이 불편한 교통취약지역을 대상으로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를 4곳에서 7곳으로 확대한다. 예컨대 경남 하동군은 작년 10월 전국 최초로 농촌 지역에 자율 주행 버스를 도입했고 올해부터 정식 운행을 시작했다. 해당 버스는 안전요원이 탑승해 비상시 수동 조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를 강릉, 충북, 서울 동작구 등으로 확대한다.
도심항공교통(UAM) 상용화를 위한 실증작업이 작년에 이어 올해도 계속된다. 특히 하반기에는 연내 인천 아라뱃길 등을 중심으로 수도권 도심 실증을 본격화한다. 교통·관광·응급의료 등 상용화 모델을 다각화하는 등 민간사업 참여 유인을 높일 예정이다. 하반기에는 2개 지자체를 중심으로 시범 사업 준비를 지원한다. 또 드론 특별자유화구역도 47곳에서 70곳으로 확대된다. 모터, 배터리 등 국내 수급을 위한 드론 제조 생태계 조성 방안이 9월 마련된다.
국토부는 상반기 20억원을 투입해 스마트시티 특화 단지도 1개소 선정할 예정이다. 스마트시티 기술 개발, 생태계 육성을 위한 재정 지원, 규제 특례, 기술 실증 등을 집중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기존 스마트시티 국가시범지구와 달리 기존 도심에 스마트시티 기술을 적용하기 때문에 신속한 사업 효과 창출이 기대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