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 원장은 “기업들의 ESG 공시 의무화 부담이 크다”며 “구체적 기준과 충분한 유예 및 면책기간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고 밝혔다.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및 한국회계기준원 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KSSB) 공시기준이 모호해 공시 준비에 부담이 있으며, 기후 시나리오 및 예상 재무영향을 분석하는 것은 대기업에서도 어려운 만큼 해외 사례를 참고할 시간이 필요하다는 게 조 원장의 주장이다.
특히 한국은 대기업 집단이 많은 탓에 연결기준 공시가 어렵다고 봤다. 조 원장은 “공시를 의무화하면 한국 기업 이익이 46% 감소할 전망”이라며 “선진국 중 ESG 공시 의무화 손실이 가장 높다”고 짚었다.
이미 미국과 영국, 일본 등 다수 국가가 LCI 데이터를 국가 차원에서 관리하고 있다. 조 원장은 “우리나라는 환경부에서 1990년대 LCI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관리하고 있다”면서도 “한국의 LCI 데이터베이스 개수는 작년 말 기준 347개로 주요 선진국의 10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지속가능보고서를 제작할 때 연결 보고 과정에서 대기업들은 계열사와 협력사 ESG 데이터 취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협력사 역시 대기업 거래처가 여러 곳인 경우 ESG 데이터를 여러 번 제출해야 하는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협력사가 ESG 데이터를 한 번만 입력해도 거래 기업들과 투자자가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통합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는 게 조 원장의 주장이다. 그는 “유럽연합(EU)은 역내 ESG 및 재무정보를 한 곳에 통합한 전자 공시 플랫폼 ESAP를 2027년 중 출시할 예정”이라며 “싱가포르는 ESG 데이터 통합 플랫폼 지프린트(Gprint)를 출시했고 일본 역시 기업과 투자자 간 대화 기능이 추가된 ESG 다이얼로그 플랫폼을 운영 중”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