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토론회에서 ‘우리사회 돌봄노동의 실태와 쟁점’에 대해 발제한 윤정향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연구위원은 “△영·유아 돌봄 △초등 돌봄 △노인 돌봄 △장애인 돌봄을 관통하는 핵심 문제로 ‘국·공립 서비스 인프라 부족’”이라며 “모든 사회구성원이 보육·요양 같은 돌봄 서비스를 생애주기에 따라 적절하게 제공받으려면, 그에 적합한 공적 인프라 확대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윤 연구위원은 이어 “돌봄 서비스가 필수노동의 영역으로 재조명되고 있지만, 민간시장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현행 체계에서는 국가 재정운용이 비효율적으로 이뤄질 수밖에 없다”며 “민간 서비스기관들이 국가 재정에 의존하면서도 이윤을 위해 과당경쟁을 하고 인건비를 절감하려다보니, 돌봄 서비스의 질은 점점 저하되는 악순환에 빠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마경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경사노위에 의제별 위원회 형태의 ‘사회적 돌봄 위원회’ 구성을 제안했다. 이날 토론회에서 ‘돌봄에 대한 사회적 대화의 원칙과 방향’에 대해 발제한 마 연구위원은 구체적 의제로 △공적 인프라 강화 △노동권과 사회권의 균형 △돌봄에 대한 인식 개선 등을 제시했다. 참여 주체로는 공익·정부·노동자·사용자(공급자)·서비스 이용자(보호자)·젠더전문가 등을 제안했다.
한편, 사회적 대화가 소기의 성과를 거두려면 관련 의제의 목표와 참여주체의 역할에 대한 분명한 설정이 필요하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왔다.
정흥준 서울과학기술대 경영학과 교수는 “사회적 대화에 대한 당위적 필요성만으로는 부족하며 논의의제와 참여주체·역할 등이 분명하게 제시될 필요가 있다”며 “노사정이 수행할 수 있는 최대 목표를 제시한 뒤 그에 대한 합의를 만들어 가는 것이 중요하며, 정부의 일방적인 지원을 결정하기 위한 사회적 대화는 의제화 되기 쉽지 않은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