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중소형부터 대형 가상자산 거래소에 노크하는 국내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다. 올해 초만 해도 매각을 추진하는 중소형 거래소가 4곳 정도였지만 현재는 그 규모가 7곳 안팎으로 늘어난 상태다. 거래소의 몸집에 따라 평균 가격대 또한 형성되고 있다. 원화거래가 가능한 대형 거래소들은 구주매출 위주로 프리미엄을 얹은 높은 가격대에 거래가 이뤄지는 반면 ISMS(정보보호관리체계) 인증을 토대로 코인거래만을 이어나가는 거래소들은 기본 수백억에서 최대 수천억원 단위에서 지분 투자 및 인수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와 다른 점은 대형 거래소뿐 아니라 원화 거래가 막힌 중소형 거래소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는 것이다. 사안에 정통한 IB 업계 한 관계자는 “대형 거래소의 경우 지난해부터 구주 거래를 위주로 M&A 시장이 활성화된 편”이라며 “기업가치가 단기간에 고공행진해 기존 주주들이 막대한 수익을 실현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중소형 거래소의 경우 원화거래가 뚫리지 않았더라도, 사업적 시너지 측면에서 투자와 인수를 논의하는 국내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다”며 “상장사의 움직임이 특히 눈에 띄게 많아졌다”고 덧붙였다.
“법인 껍데기만이라도” 기조는 시들시들?
다만 이러한 분위기는 소폭 바뀔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최근 ISMS 예비인증 제도 도입을 추진하기로 하면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앞서 2월 FIU과 ISMS 예비인증 제도 도입에 대한 논의를 마쳤다. 이에 따라 과기부는 사업자 신고를 원하는 가상자산사업자에게 특정 조건을 전제로 ISMS 인증을 부여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과기부는 이달 중 행정예고에 나설 계획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규모 있는 블록체인 기업 일부는 거래소를 보유하는 것 자체가 경쟁력이 된다는 생각에 법인 껍데기만이라도 인수하고자 하는 움직임을 보였다”며 “이번 ISMS 예비인증 제도 도입으로 이들 대부분은 신규 거래소를 설립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국내 상장사에 대해서는 “거래소를 100% 자회사로 두는 것이 아직은 보편화되지 않은 상태라 (지분 투자 대비) 신규 거래소 설립을 선호하는 곳은 아직 드물 것”이라며 “때문에 이들 사이에서는 당분간 중소형 거래소에 대한 수요가 클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