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일 당내에선 혁신위원장 인선 실패를 두고 친명(親이재명)계와 비명(非이재명)계간 공방이 계속 이어졌다. 친명계 장경태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CBS 라디오에서 “당 혁신위원장을 국민 투표를 하는 ‘슈퍼스타K’ 식으로 뽑을 수는 없다. (혁신위원장 인사 실패를 비판하는 분들이) 오히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탄핵을 수용하지 않은 윤석열 대통령에게 강경하게 말씀하셨으면 어땠을까”라고 꼬집었다. 또 서은숙 최고위원 역시 “민주당이 아니라 윤석열 정부가 비상”이라며 “(이럴 때일수록) 이 대표를 중심으로 뭉쳐 ‘윤석열 검찰 독재’와 싸워야 한다”고 쏘아붙였다.
반면 대표적 비명계 이상민 의원은 KBS 라디오에 출연해 “이 대표가 스스로 퇴진하는 길을 걸으면 내부 분열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 김종민 의원도 라디오에서 “팬덤 강화가 혁신이 아니다”라며 “이 대표가 ‘황교안의 길’로 가면 안 된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이 대표는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당 혁신기구 위원장으로 내정했다 사퇴한 이래경 다른백년 명예 이사장 관련 논란에 대해 “결과에 대해서 언제나 무한 책임지는 것이 당 대표가 하는 일”이라며 “당 대표가 권한을 가진 만큼 내부 논의를 충분히 했든 안 했든 다 논의하고 하는 일”이라고 말했다. 다만 사과 계획 등 구체적인 책임 방식과 관련한 질의엔 침묵했다.
|
이런 가운데 오는 24일로 예정된 이낙연 전 대표의 귀국이 당 내분의 분기점이 될 전망이다. 이 대표의 리더십 붕괴로 이 전 대표의 역할론이 대두하면서다.
일각에선 당내 비명이자 친낙(親이낙연)계 의원들이 이 전 대표를 구심점으로 모인다면 이 대표에게는 직격탄이 될 수도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또 다른 한 비명계 의원은 “지금 이 대표를 향한 불만이 극에 달한 상황에서 이 전 대표가 당장 어떤 역할을 할 수는 없더라도 귀국 자체가 주는 큰 의미는 있을 수 있다”며 “차후 당이 더 큰 위기를 맞았을 때에는 이 전 대표를 부를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
다만 친명계는 현재 당내에서 이 전 대표가 맡을 역할은 없다고 못 박았다. 한 친명계 의원은 “지금 이 전 대표가 와도 당내 현안을 해결하긴 쉽지 않을 것이다. 친명과 비명의 갈등은 여전할 것이고 솔직히 쇄신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며 “당 어른으로서 역할을 해주실 수 있을진 모르겠지만 당의 수장으로서 다시 한 번 영향력을 발휘하기는 어렵다”고 단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