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는 이어 이날 SBS 라디오에서도 “의회의 혁신적 과제에 대한 흔들림 없는 역할을 (제게) 기대한다면 주저하지는 않겠다”면서 “국회의장은 중립이 아니다. 지난 국회를 보면 서로 절충점을 찾으라는 이유로 각종 개혁 입법이 좌초되거나, 또는 의장의 손에 의해서 알맹이가 빠져버리는 등 그런 안 좋은 일이 있었다”고 사실상 차기 국회의장 도전을 시사했다.
추 당선인은 제24회 사법시험에 합격한 판사 출신 정치인으로 15·16·18·19·20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2016년부터 2018년까지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문재인 정부 법무부 장관 등을 역임했다. 이번 제22대 총선에 당선되면서 헌정 사상 최다선 여성 국회의원이 됐고, 최초 여성 국회의장이 탄생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이고 있다.
이 밖에 민주당에서 ‘올드보이의 귀환’을 이룬 박지원(81) 전남 해남·완도·진도 당선인과 정동영(70) 전북 전주병 당선인도 국회의장 후보로 가능성이 점쳐진다. 박 당선인은 문재인 정부 국가정보원장을, 정 당선인은 노무현 정부 당시 열린우리당 의장(대표)와 통일부 장관을 각각 역임했다.
원내 제1당 최다선이 국회의장을 맡는 건 관례일 뿐이다. 5선 이상 중진 고령 의원 중 계파색이 옅은 의원이 맡는 경우도 있다. 무기명투표 방식으로 재적의원 과반수 득표로 선출하는데, 22대 국회에서도 민주당이 단독으로 과반 의석을 확보하면서 국민의힘 등 다른 원내 정당들에 구애받지 않고 자체 선출할 수 있을 전망이다. 선출 후에는 여야 중립성을 위해 국회법상 당적 보유와 상임위원회 활동이 금지된다.
국회의장의 임기는 2년으로 4년 국회 기간 중 전·후반기에 각각 1명씩 맡는다. 민주당은 이번 21대 국회에서도 2명의 국회의장을 배출했다. 이번 총선에서 일찌감치 불출마를 선언하고 정계 은퇴 수순을 밟는 박병석(72·대전 서갑·6선) 의원과 김진표(76·경기 수원무·5선) 의원이 각각 전반기 의장과 후반기 의장을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