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품별로 보면 ‘1세대’ 구(舊) 실손보험이 각사 평균 6.8∼21.2%, 이후 팔린 ‘2세대’ 표준화 실손보험이 각사 평균 8.2∼23.9%가 올랐다.
손해보험사 중 가장 높은 인상률을 보인 곳은 롯데손해보험이다. 롯데손해보험으로 구실손과 표준화실손을 각각 평균 21.2%, 23.9% 인상했다.
보험업감독규정에 따라 실손보험료 변동 폭은 연간 ‘±25%’를 넘어서지 않도록 하고 있다. 롯데손해보험이 이 기준으로 넘어선 건 아니다. 하지만 주요 보험사들이 20%선을 넘지 않은 것과는 차이를 보인다.
지난해 말 금융당국은 보험사들에게 구 실손보험료 인상 요구안의 80%, 표준화실손은 60% 수준만 반영하라고 통보했다. 이에 주요 보험사들의 실손보험 인상률은 20% 이내에서 책정됐다.
삼성화재의 인상률도 높았다. 삼성화재는 구실손과 표준화실손을 각각 평균 19.6%, 13.6% 인상했다. 삼성화재는 지난해 3분기 기준 구실손 손해율이 133%, 표준화실손은 129%까지 치솟으며 악화를 보였다. 착한실손으로 불리는 신실손도 113% 수준의 손해율을 냈다.
다른 대형사도 상황은 비슷하다. KB손해보험이 구실손과 표준화실손을 각각 평균 19.5%, 12.2%, 메리츠화재가 19.1%, 13.5%, 현대해상은 18.2%, 12.1%, 이어 DB손해보험이 17.5%, 11.9%를 인상했다.
가장 적은 수준을 올린 곳은 한화손해보험으로 구실손과 표준화실손을 각각 6.8%, 8.2% 인상했다. 다만, 한화손해보험은 경영관리 대상 회사로 지정돼 전년도에 따라 실손보험료를 50%가량 인상한 바 있다.
2017년 4월 이후 팔린 신 실손보험은 생·손해보험사 모두 보험료를 동결했다.
이번 보험료 인상은 5년만에 최고 수준의 인상으로 전해진다. 이에 따라 가입자들의 부담은 늘어나게 됐다. 특히 3~5년 주기로 보험료 갱신이 돌아오는 가입자는 그간의 보험료 인상폭을 한 번에 적용받기 때문에 평균 50%가 넘는 수준의 보험료 인상이 예고되고 있다. 더군다나 남성, 고령자의 경우 2∼3배가 넘는 수준의 인상이 발생할 수 있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실손보험료 인상을 최대한 억제하고 있지만, 당국 눈치만 보기에는 적자 폭이 너무 큰 상황”이라며 “4세대 실손보험이 나오지만, 기존 1세대와 2세대 상품에 대한 손해율이 가장 큰 문제다. 비급여 관리에 대한 대책이 빨리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