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미트 전 CEO는 국방수권법에 근거해 지난 2018년 의회가 설치한 미국 인공지능(AI)에 관한 국가안보위원회(NSCAI·이하 위원회)를 이끌고 있다.
|
2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즈(FT)에 따르면 이 위원회는 최근 2년 간의 연구 끝에 이 같은 결론을 내리고, “미국이 반도체를 설계하고 이를 직접 제조할 수 있는 탄력적인 국내 기반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의회에 권고했다. 슈미트 위원장은 이날 “대만에 대한 의존 탓에 미국 기업과 미군을 움직이는 최첨단 반도체 및 반도체 기술분야에서의 경쟁력을 잃어버리기 직전 상황에 처해 있다”고 경고했다.
아울러 워커 공동 위원장은 중국과 대만 간의 거리인 110마일을 언급하며 “우리와 중국 간 격차가 2세대에서 110마일 더 벌어져 있지만, 만약 중국이 대만을 흡수한다면 우리에게는 경쟁력의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우려의 수위를 높이기도 했다.
미국 행정부는 조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주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반도체를 비롯한 주요 4대 품목에 대해 핵심 공급망을 개선토록 하는 검토 작업을 시작했다. 세계 최대 파운드리업체인 TSMC를 설득해 애리조나에 현지 공장을 짓도록 하는 등 해외 반도체 생산 의존도를 줄이는 조치도 취하고 있다.
총 756페이지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의 보고서에서 위원회는 주로 AI가 미국 경제와 소비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분야를 적시하면서도 동시에 “중국이 첨단 기술에 투자하면서 미국에 닥칠 수 있는 전략적인 취약성”에 대해서도 경고했다. 보고서는 “미국은 AI분야에 관한 한 대학과 민간부문에서 글로벌 리더십을 가지고 있지만, 여전히 다가온 시대에 대해서는 준비가 돼 있지 못하다”고 지적하며 “중국은 미국의 기술 리더십과 군사적 우위, 세계시장에서의 더 넓은 지위에 도전할 수 있는 힘과 재능, 야망을 가진 경쟁국가”라고 강조했다.
현재 전세계 다수의 칩 제조기업은 글로벌 1위 장비기업인 어플라이드머티어리얼즈, 램 리서치 등 미국업체 장비를 쓰고 있다. 이들 장비는 모두 미국의 수출 규제품목에 포함돼 있다. 또 일본 니콘, 캐논과 극자외선(EUV) 공정장비를 유일하게 공급하는 네덜란드의 ASML도 주요 장비납품업체다.
뿐만 아니라 미국과 동맹국의 반도체 제조기술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 외에도 한국, 대만 등이 미국 내에서 반도체 생산을 확대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하도록 권고하기도 했다. 또 반도체 제조에 투입되는 장비 투자에 40% 세액공제를 도입하는 방안도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