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국감에서는 외국어고등학교나 자율형 사립고 등 특수목적고 출신 신입생 비율이 과도하고 높다는 지적이 해마다 나온다. 서울대 진학을 위해 초등학교, 심지어 유치원 때부터 준비해온 아이들이 자사고로, 외고로 모이는 현실에선 불가피한 결과다. 현행 대입제도를 근본부터 손보지 않는 이상 서울대가 인위적으로 합격 비율을 조정할 방법은 없다.
하지만 내년에도 똑같은 문제를 가지고 피감기관장에 불호령을 내리는, 그래서 불성실한 건 지, 끈기 있는 건 지 모를 ‘국회의원님’들이 또 등장할 것이다.
국감은 의원들에겐 일년에 한번 있는 대목 장사다. 한 건만 잘 터트리면 몇몇 거물급 정치인들에게 집중된 언론의 스포트라이트를 단숨에 끌어모을 수 있다. 정책 국감을 강조하지만 의원들 입장에선 국감 스타로 떠올라 인지도를 단숨에 끌어올린 동료들을 보면 ‘한 건’에 대한 욕심에서 빠져나오기 쉽지 않다.
국감 때 장관이나 단체 수장이 “잘못했다. 개선하겠다”고 약속한 사항은 각 상임위에서 제대로 이행됐는 지 끝까지 확인해야 한다. 피감기관 또한 조치 가능한 사항과 불가능한 부분을 명확히 한 뒤 이행 계획을 마련, 국감이 끝나도 잊지 말고 시행하는 성의를 보여줬으면 한다. 그게 국감 시즌이면 똑같은 지적사항을 날짜와 수치만 바꿔 기사를 써야 하는 기자들의 일손을 덜어 주는 일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