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축은행 전체 중 25%만 주담대 취급
30일 저축은행중앙회 공시에 따르면 지난달 저축은행이 취급한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상품은 24개로, 전년 동기대비 8개 감소했다. 같은 기간 주담대를 제공한 저축은행 수 역시 24곳에서 20곳으로 4곳 줄었다. 전체 저축은행 79곳 중 25% 정도만 주담대 상품을 제공하고 있는 셈이다.
불과 6개월 전인 지난해 9월(29곳)과 비교하면 주담대 상품을 취급하는 저축은행 수는 9곳 감소했다. 저축은행중앙회 공시는 직전월 주담대 신규 취급액 발생 시 이뤄진다. 이 점을 감안하면 6개월 만에 저축은행 9곳이 주담대 상품 취급을 중단·축소한 것으로 풀이된다. 전체 2금융권이 대출 문턱을 높였던 지난해 10월(24곳)과 비교해봐도 올 2월 주담대 상품 취급 저축은행 규모(20곳)가 더 적다.
저축은행들은 주담대·신용대출 등 대출상품 취급을 중단하거나 제공 창구를 제한하는 식으로 대출 문턱을 높이고 있다. 지난해부터 잇따른 유동성 경색·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 등 금융환경이 불안정한 상황이 누적되면서, 적극적으로 연체율을 관리해 건전성을 확보하는 게 우선 과제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지금 상황에서 대출을 확대하는 건 말이 안된다”고 입을 모았다. 시중은행과 달리 후순위 주담대인 저축은행 상품은 사업성은 떨어지는데 리스크는 크기 때문이다. 후순위 주담대는 기존 선순위 담보대출을 보유한 차주가 같은 담보로 추가 대출을 받는 것을 말한다. 다중채무가 가능하단 얘기다. 여기에 금리인상 기조, 부동산 담보 가치 하락세도 여전한 상황이라 무리하게 대출 문을 열 수 없다는 설명이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중·저신용자 비중이 높은 저축은행 고객군을 고려하면 연체율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밖에 없다”며 “지난해 금융당국이 충당금을 추가 적립할 것을 주문한 데다 유동성·연체율 관리에 고삐를 죄고 있는 상황이라 신규 고객 확보를 위한 대출 확대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대형 저축은행 관계자도 “금융당국에서 대출을 너무 죄지 말고 금리를 낮추라고 하는데, 신규대출 취급과 건전성이라는 두마리 토끼를 잡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이라며 “신규 고객 확대 전략은 차치하고, 대환대출 경쟁이 심화하면서 기존 고객 지키기도 어려운 판”이라고 설명했다.
충성고객이 없는 저축은행들은 은행권에서 대환대출상품이 지속 출시되고 대환대출플랫폼도 출범하면 고객을 뺏고 뺏기는 출혈 경쟁이 한동안 이어질 것을 우려했다. 특히 조달비용 등에서 은행에 비해 경쟁력이 뒤쳐지는 저축은행들은 우량고객 이탈이 가시화될 수 있다고 예상했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대환대출도 결국 대출 조건을 충족해야 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신용이 담보된 우량고객들에 한해 대환대출이 가능할 것”이라며 “내부적으로도 대환대출 대응 전략에 대해 고심하고 있지만 뾰족한 수가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