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바닥의 맨 밑에 위치한 두껍고 강한 콜라겐 성분의 섬유띠인 족저근막은 보행 시 다른 발 근육과 함께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발의 아치 구조를 유지하며, 발의 움직임에 관여하는 중요한 구조물이다. 과도한 충격이 가해지면 염증과 통증이 유발될 수밖에 없다. 강도 높은 운동을 장시간 하거나 갑자기 발바닥에 큰 충격을 주는 행위를 할 경우 발생할 수 있다. 등산, 달리기, 장시간 서서 근무하기, 과체중, 하이힐 같은 신발을 즐겨 신는 습관 등이 요인이 된다.
심영기 연세에스의원 원장은 “족저근막염은 발 뒤꿈치뼈에서 발 앞부분까지 이어진 근막에 과도한 충격이 가해져 염증이 생긴 것”이라며 “장시간, 강도 높은 충격이 발에 가해지는 운동을 삼가고, 발목이 높고 쿠션이 좋은 신발을 신으며, 운동이나 산행 전후 스트레칭 및 준비운동을 충분히 하는 게 족저근막을 보호하는 기본”이라고 말했다. 반면 굽높은 신발, 밑창이 얇고 평평한 신발, 키가 커보이게 하는 키높이 깔창 등은 족저근막염을 유발 또는 악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족저근막염은 보통 아침에 첫 발을 디딜 때, 오래 앉아 있다가 일어서서 걸을 때 멈칫할 만큼 날카로운 통증을 유발한다. 아침에는 밤새 수축해 있던 족저근막이 펼쳐지면서 극심한 통증을 일으킨다. 이러한 통증은 보행을 하면 다시 서서히 완화되지만 이내 더 심한 통증으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명확한 압통점이 있거나 증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경우 가급적 일찍 병원을 찾는 게 바람직하다.
심 원장은 “초기에는 충분히 휴식을 취하는 것만으로도 상당히 호전되지만, 이를 방치하거나 무리하게 발을 쓰면 만성화되고 그러다보면 보행이 어려워지고 발바닥 통증에 신경 쓴 나머지 무릎, 고관절, 척추에도 변형이 일어나게 된다”고 말했다.
족저근막염은 소염진통제, 프롤로주사, 체외충격파, 도수치료, 한방의 뜸 또는 침으로 치료한다. 약물치료 중 스테로이드의 반복적 사용은 족저근막 급성 파열, 뒤꿈치 지방 패드 위축 등을 유발할 수 있어 신중해야 한다. 효과도 일시적이어서 증상이 반복되면 스테로이드 치료를 지양하는 게 바람직하다.
심영기 원장은 “족저근막염은 도수치료, 체외충격파 등 보존적인 치료를 통해 호전될 수 있지만 오랜 치료에도 차도가 없다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기보다 신개념 전기자극치료 호아타리젠요법(엘큐어요법)으로 근본적인 개선을 추구하는 게 더 좋다”고 말했다.
심 원장은 “엘큐어요법은 미세전류를 피부 깊은 곳까지 흘려보내 부족한 세포에 전기에너지를 충전하여 통증의 근본적인 원인을 개선한다”며 “족저근막염 의 경우 3~7일 간격으로 약 15회 호아타요법을 족저근막염과 동반된 질환을 동시에 치료하면 세포의 대사가 활성화되면서 혈액순환이 원활해져 세포에 영양과 산소 공급이 충분해져 족저근막염이 호전되는 사례가 많았고 재발도 방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족저근막염 예방을 위해서는 발바닥에 과도한 하중이나 자극을 주는 행동을 지양하고, 스트레칭·마사지·족욕 등으로 발의 피로를 풀어준다. 발에 수건 걸어 당기기가 가장 효과적인 스트레칭 요령이다. 적정 체중을 유지하고, 운동화 등 편한 신발을 신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