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일 더불어민주연합 내 ‘시민단체 추천 비례대표 후보’로 선정된 김윤 서울대 의대 교수는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김 교수는 현 정부가 추진하는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은 꼭 필요하고 국내 의과대학에서도 수용가능하다고 봤다.
김 교수는 “딱 하나 문제가 되는 게 있다면 기초 교육을 담당할 교수의 숫자가 부족할 수 있다는 것”이라면서 “이번 기회에 기초 교육을 강화하는 계기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 “기초 교수들의 급여 수준을 높여주고 연구에 대한 지원을 병행해주면 우수 인재들을 쉽게 확보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기초의학은 해부학·생리학·면역학·예방의학처럼 의학의 근간을 이루는 학문을 의미한다. 본과 의대생들은 주로 1~2학년 때 이들 기초의학을 배운다.
현재 극단으로 치닫고 있는 의사와 정부 간의 갈등에 대해서 김 교수는 정부가 유연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정부 입장에서는 2025학년도 2000명 증원 방침을 바꾸기 어려울 수 있다”면서 “그렇다면 2026학년도 이후 정원을 놓고 의사들과 논의하면서 대화의 장을 만들어가는 게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는 정부가 결정해 실행할 내용이 아니다, 의사들의 교육과 수련을 담당할 교수들이 동의해야 가능한 사안”이라고 진단했다.
|
그는 “의료계 단체, 전문가들을 만나면서 잘못된 정책을 고쳐보려는 시도를 해봤지만 번번이 실패했다”고 말했다. 한 예로 김 교수는 2017년 만들어진 의료전달체계 개선협의체에 2년 가까이 참여했지만 아무런 성과를 못 냈던 것을 들었다.
김 교수는 의료계 내 만연된 불합리한 현실을 알리기 위해 칼럼쓰기도 해왔다. 많은 독자들이 그의 생각에 호응해줬지만 의사들의 반응은 부정적이었다. 일부 의사들은 의료정책 개선을 위한 간담회나 협의체에 김 교수를 우선 배제할 것을 요구하기까지 했다.
결국 최후의 수단으로 그는 ‘국회의원’을 선택했다. 입법부에 속해 법안을 입안하고 정부에 직접 의견을 낸다면 왜곡된 현실을 바로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봤다. 그가 민주당 주도 더불어민주연합의 시민단체 추천 비례대표 후보로 나선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