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후 배제기준을 적용해 5곳으로 압축하고, 정량평가를 거쳐 현재 마포자원회수시설이 위치한 상암동 부지를 최적 입지 후보지로 결정했다.
위원회에 따르면 상암동 후보지는 영향권역(300m 이내) 내 주거 세대수가 없다는 점과 현재 폐기물 처리시설로 지정돼 있어 도시계획시설 결정이 필요하지 않다는 점 등이 높게 평가됐다.
서울시는 2026년까지 기존 자원회수시설 옆 지하에 새 시설을 건립한 뒤 기존 시설은 2035년까지 철거해 주민을 위한 공간을 조성할 계획이다. 특히 소각시설은 100% 지하에 설치하고 지상부에는 복합문화타운을 조성한다. 자원회수시설의 특징이자 기피의 상징이었던 높은 굴뚝은 관광 아이템으로 역활용해 전망대, 회전 레스토랑, 놀이기구, 스카이워크 등을 조성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서울시와 서울시민을 위해 꼭 필요한 시설이므로 후보지 인근 주민분들의 많은 이해와 협조를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
마포구 시의원 역시 이날 오후 기자회견을 열고 “2035년까지 9년 동안 마포구에서만 2개의 자원회수시설이 가동되면서 유해물질 배출과 출입 차량 증가에 따른 교통혼란으로 마포구 주민들의 심각한 생활피해가 우려된다”며 “서울시는 광역쓰레기소각장 부지 선정 관련 졸속·밀실 결정을 사과하고 입지선정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해라”고 촉구했다.
뿐만 아니라 새로운 광역자원회수시설을 건립해도, 2035년 기존 자원회수시설을 철거하면 또 다시 750톤의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용량이 부족하게 된다. 현재 서울시에는 하루 3200톤의 종량제 생활폐기물이 나오는 상황이다. 서울시 내에 있는 4개 광역자원회수시설(양천·노원·강남·마포)의 하루 총 처리 용량은 약 2200톤으로 1000톤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대해 유연식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이번에 마포를 통해서 250톤 규모가 증설되고, 나머지 750톤 규모는 양천·노원 등 노후화 된 기존 광역자원회수시설의 현대화를 통해 확보할 수 있을지 현재 용역을 통해 연구·분석 하고 있다”며 “여러가지 방안을 강구해 대응할 예정”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