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바이든 신(新)행정부가 출범해도 협상으로 북핵 문제를 해결한다는 기조가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하고 북한을 대화 테이블로 끌어내기 위한 양측의 대북 메시지 관리 중요성을 전달한 것으로 보인다.
강경화 장관은 10일(현지시간) 워싱턴 D.C. 주미대사관에서 특파원 간담회를 갖고 민주당 크리스 쿤스 상원의원과 크리스 머피 상원의원 등을 면담했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
강 장관은 바이든 당선인측에 외교정책 자문을 하고 있는 싱크탱크 브루킹스연구소의 존 앨런 소장도 면담했다면서 “앨런 소장이 우리 정부의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주요 동맹 현안에 대한 입장을 당선인측에 전달하겠다고 했다”고 전했다.
아울러 “과거 민주당 행정부는 우리 정부와 한반도 평화를 위해 긴밀히 공조하고 협력해 온 경험이 있는 만큼 바이든 행정부의 출범 후 조속한 시일 내에 한미 간 호흡을 맞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도 했다.
이 자리에서는 북미대화의 조속한 재개 중요성과 함께 종전선언에 대한 정부의 구상과 지금까지 있었던 미국과의 협의내용에 대한 설명도 이뤄진 것으로 전해진다. 외교당국에서는 핵능력 감축 동의를 조건으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날 수 있다는 바이든 당선인의 지난달 TV토론 발언이 문재인 정부의 ‘포괄적 합의·단계적 이행’ 기조와 일치될 수 있는 부분이라고 판단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문재인 대통령과 바이든 당선인 간 전화통화가 조속히 이뤄질 수 있도록 외교당국 차원의 노력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강 장관이 만난 인사 가운데 바이든 캠프에 직접 소속된 인사는 없다. 바이든 캠프에서는 외국 정부 인사와의 접촉을 제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또 공화당 소속인 제임스 리시 상원 외교위원장과 밥 메넨데스 상원 외교위 민주당 간사와도 이날 오후 면담했다고 덧붙였다. 강 장관은 “현 행정부 인사들과 만나 신행정부 출범 전까지 한미관계 및 한반도 문제 관련 공조를 긴밀하게 유지하기로 하였으며 바이든 당선인측과 가까운 의회, 또 학계 유력 인사들을 두루 만나서 한미동맹 발전에 대해 소통하는 계기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소기의 성과를 거두었다고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8일 미국에 도착한 강 장관은 일정을 마치고 11일 귀국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