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대 초반만 해도 연간 10%대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나타내던 중국의 경제가 저성장 기로에 놓였다. 한때 중국 GDP가 미국을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기도 했지만 이제는 연간 5% 성장도 담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중국 정부가 올해 성장률 목표를 얼마나 제시할지는 큰 관심사다. 세계적 경기 둔화와 국내 부동산 침체라는 대내외 악재를 딛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선 적지 않은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
5%대 경제 성장, 예측 아닌 ‘정책 의지’
중국 국가통계국은 오는 17일 4분기 GDP를 비롯해 연간 성장률을 발표할 예정이다. 중국 정부는 올해 경제 성장률 목표로 5.0%를 제시했는데 달성은 어렵지 않아 보인다.
올해 1~3분기 중국의 누적 GDP는 전년동기대비 5.2% 성장했다. 통계국은 4분기 성장률이 4.4%를 넘으면 연간 5%를 기록한다고 설명했는데, 현재 시장이 예측하는 4분기 성장률은 5.2%로 이보다 높은 수준이다.
중국 내부에선 올해도 5%대 성장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중국의 싱크탱크인 중국과학원 예측과학연구센터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올해 중국 경제가 전저후고(상고하저) 추세를 보이면서 5.3% 안팎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라고 봤다.
5% 성장은 단순한 예측을 넘어 ‘정책 의지’이기도 하다. 앞으로도 5%대 성장세를 지속해야 미국과 경쟁할 수 있는 경제 규모를 이룩한다는 중장기 계획을 지킬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 관영 환구시보는 “2023년 중국의 GDP 성장률은 5% 초과가 확실하고 2024년 목표는 5%보다 낮아서는 안된다”고 제시하기도 했다.
중국이 올해 경제 선방을 예상하는 근거는 내부 소비·투자의 반등과 신에너지차(전기차) 수출 증가 등이다. 지난해 1~11월 중국 소매판매는 전년동기대비 7.2% 증가해 소비자 지출이 살아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경제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제조업 투자에서도 전기기계·장비(34.6%), 첨단산업(10.5%) 등이 기지개를 펴고 있다.
중국 경제는 경기 침체 속 물가가 하락하는 디플레이션 위기를 겪고 있는데 이는 성장률 회복에는 오히려 기회 요인이 될 수도 있다. 인플레이션(지속적인 물가 상승)에 시달리는 다른 국가와 달리 정책적인 수단이 많기 때문이다.
중국의 경우 지난해 연간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대비 0.2% 오르는 데 그쳤다. 3%대로만 내려가도 ‘선방했다’는 평가를 받는 미국, 한국 등과는 다른 양상이다.
환구시보는 “중국의 GDP 성장은 상당 부분 정부의 정책에 달렸는데 적어도 단기적으로는 인플레이션을 너무 걱정하지 않고 확장적인 재정·통화정책을 채택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미 중국은 올해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예고한 상태다. 미국과 금리 격차 때문에 그동안 지급준비율 완화 등 시중 유동성 공급에 치중했는데 미국의 금리 인상 사이클이 종료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사실상 기준금리인 대출우대금리(LPR) 인하도 예상된다.
재정 정책에서도 지난해 10월 1조위안(약 185조원 규모) 특별국채 발행 계획을 발표하면서 재정 적자율을 3.0%에서 3.8%로 확대할 전망이다.
이는 중국이 그동안 고수했던 ‘GDP대비 재정적자 3%, 국가부채 60%’ 기준을 깼다는데 의미가 있다는 평가다. 그만큼 경제 회복을 위해 재정 지출을 늘릴 의지를 드러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