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학수 한국개발연구원(KDI) 재정·사회정책연구부장은 지난 3일 세종 KDI 연구실에서 가진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교육재정이 늘어나는 속도를 합리적으로 조절하는 방향이 필요하다”며 이 같이 밝혔다. 앞서 김 부장은 학령인구 변화와 소득·물가 변화를 감안해 교육교부금 총액을 경상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수준으로 관리하는 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
“교육청, 재정 효율성 고려 전혀 안 해…성과관리도 미흡”
교육교부금은 유치원과 초·중·고 교육을 위해 중앙정부가 지방자치단체에 재원을 이전하는 제도다. 현행 교육교부금 체계에서는 중앙정부가 매년 내국세수의 20.79%를 교육교부금으로 배분해야 한다. 최근 저(低)출산이 심화하면서 학령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가운데 국세와 연동해 꾸준히 늘어나는 교부금 제도에 대한 개선 필요성이 제기됐다. 올해 확정된 교육교부금 총 규모는 65조1000억원에 달한다.
중앙정부에서 65조원의 재정을 투입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성과관리가 미흡하다는 점도 지적했다. 김 부장은 “교육 성과는 더 나은 교과 과정과 여건 하에서 학생들이 과거에 비해 얼마나 더 나은 성과를 보였는지를 평가해야 하는 것”이라며 “학생들에 대한 추적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엄밀하게 평가해 개선 방향을 제안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기적 검증 필요…성과지표 마련하고 재원조달 책무 줘야”
반면 교육계에서는 교육교부금 개편과 관련해 유보적 입장을 보이고 있다. 고교학점제, 그린스마트스쿨사업 등 미래 교육에 대비하기 위한 잠재적 수요가 더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 인프라를 구축하고 추가 교원 소요에 대한 투자를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교육과 재정당국이 고등·평생·직업교육에 재정적 지원을 확대하기 위해 교육청과 지자체 간 연계를 강화하는 공동사업비제도 도입을 논의하는 것과 관련해서도 지출 구조조정이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부장은 “현재는 교육 재정을 효율화하고 모든 연령 계층에 고르게 교육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우선돼야 한다”고 했다.
인구비중 유지 정도 등 제대로 된 교육 성과지표를 마련하고 종합평가를 통해 성과교부금을 지급하는 인센티브제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김 부장은 “교육 지자체에 상대적으로 학령인구 비중이 유지되도록 하는 의무를 준다면 수도권 집중 현상을 완화하고 지역 소멸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나아가 교육교부금의 경직적 재정 운용구조를 개선하고 효율적 교육 투자를 위해 시도교육청에 일정 부분 과세 권한을 이양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김 부장은 “교육계가 보다 완전한 교육자치 실현을 할 수 있도록 재원 조달 책무를 갖도록 함으로써 재정지출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