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벌어지고 있는 미국과 중국 간 갈등, 반도체 기술패권 경쟁, 탄소중립 등 국제사회에서의 거대한 변화에 보다 신속하고 종합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테이퍼링(자산 매입 축소), 중국 헝다그룹의 파산 위기 등 금융시장을 뒤흔들 리스크에 대한 대응도 강화한다.
“코로나19 이후 대외 리스크 부각 가능성”
정부는 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열고, 대외경제장관회의 산하에 홍 부총리가 주재하는 별도의 장관급 회의체인 대외경제안보 전략회의를 신설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현재는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 중심으로 대외 현안을 다뤘지만, 앞으로는 경제부처 장관과 외교안보부처 장관, NSC 상임위 위원 등이 이 회의체에 참석해 정례 회의를 열 예정이다.
이처럼 대외 리스크가 커지는 상황이라 이에 대응하는 체제를 강화하겠다는 게 정부 구상이다. 홍 부총리는 “코로나19 이후 시장선점 경쟁, 기술패권 경쟁, 탄소중립 가속, 치열한 공급망(GVC) 재편 등 최근의 글로벌 경제환경 급변과잠재된 불확실성은 언제나 리스크로 부각해 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최근 경제·기술·안보 등이 연계·통합된 형태의 국가 간 경쟁이 심화하면서 경제대응 포지셔닝(위치 설정)에 전략적·정무적 판단이 함께 고려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홍 부총리는 다음 달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리는 주요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에 참석해 협력 방안과 함께 경제 대책을 모색할 계획이다.
G20장관회의, 탄소국경제도 이중부담 관건
특히 정부는 다음 달 열리는 G20회의에서 탄소국경조정제도 관련한 우리 기업들의 이중부담을 줄이는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탄소국경조정제도는 유럽연합(EU)으로 수출되는 제품 중 탄소 배출이 많은 제품에 추가 비용을 물리는 제도다. 철강, 시멘트 등 국내 수출 기업들은 배출권 거래제로 1차적인 비용 부담을 하는데, 탄소국경조정제도로 2차 부담까지 떠안을 우려가 있다.
아울러 정부는 금융위기 관리에도 집중할 계획이다. 홍 부총리는 “미국 연준 테이퍼링 등 주요 선진국에서 통화정책 기조변화가 가시화하고 있다”며 “그 과정에서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풀린 풍부한 유동성 상황에서 누적된 부채 위험이 신흥국시장을 중심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홍 부총리는 “국제금융시장 여건 변화에 대비해 대외부문 전반에 걸쳐 `회색 코뿔소(지속적인 경고로 충분히 예상할 수 있지만 쉽게 간과하는 위험 요인)`와 같은 위험요인이 없는 지 점검하고, 컨틴전시 플랜을 미리 보완하는 등 만반의 준비를 갖춰 나갈 것”이라며 “경제기술안보 결합 이슈 및 국제협력 이슈 등에 대한 전략적 국익 확보 노력을 더 치밀하게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