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국내총생산(GDP)은 114조 3670억위안(약 2경 1450조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중국의 2021년 GDP 성장률은 8.1%를 기록했다. 로이터 전문가 예상치인 8.0%를 소폭 웃돈다.
연간 수치 자체는 나쁘지 않아 보인다. 중국 정부가 설정한 목표치인 6.0% 이상에도 부합했다. 하지만 이는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았던 2020년과 비교한 기저효과가 주는 착시현상으로 볼 수 있다. 지난 2년간 평균 성장률을 계산하면 5.1%에 불과하다. 중국의 2021년 경제성장률은 지난 2020년의 2.2%(수정치)를 제외하면 1990년(3.9%) 이후 30여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특히 하반기부터 경제는 급속하게 식고 있다. 중국 경제 성장률은 지난해 1분기 18.3%로 최고점을 찍은 후 2분기 7.9%, 3분기 4.9% 등 계속 둔화세를 이어오고 있다.
세계적인 원자재 가격 급등과 공급망 병목 현상 등 외부적인 영향도 컸지만 중국 내 전력난 및 각종 규제 등도 악재로 작용했다. 특히 부동산 부문부채 감축을 목표로 한 고강도 규제는 중국 GDP의 거의 3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되는 부동산 산업을 위기로 몰았다.
중국의 2021년 연간 도시 실업률은 5.1%로 집계됐다. 중국은 작년 도시 실업률 목표를 5.5% 안팎으로 하향 조정했는데 이에 부합한 것이다. 2020년 실업률 목표는 6% 안팎이었으며, 잠정 5.6%로 집계됐다.
|
중국은 ‘칭링’(淸零·제로 코로나)이라는 강력한 방역 정책을 앞세워 세계 주요국 가운데 코로나19 경제 충격에서 가장 먼저 회복했다. 하지만 작년 하반기부터 성장세가 둔화, 올해 경제성장률은 5%도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중국 경제 성장의 3대 엔진 가운데 소비와 투자가 아직 회복되지 않은 상황에서 성장을 이끌어온 수출마저 둔화할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중국의 성장 둔화에 세계 각국도 긴장하고 있다. 세계 경제 성장에 대한 중국의 기여도는 약 25%에 달한다.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올해 중국 경제가 어떻게 돌아가느냐가 다른 국가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결과적으로 중국은 글로벌 공급망의 중심에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은 경제 성장 둔화 우려 속에서 최근 경기부양을 위한 다양한 카드를 꺼내는 모습이다. 이날도 GDP 발표 전 인민은행은 1년 만기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대출 금리를 2.95%에서 2.85%로 0.1%포인트 인하했다. MLF 금리를 내린 건 2020년 4월 이후 21개월 만에 처음이다.
특히 시 주석은 올 가을 공산당 당대회에서 역사상 처음으로 3연임 할 것이 확실시되는 터라 장기 집권을 위해선 경제 성장 유지가 각별히 중요한 상황이다.
로이터통신은 “중국 정책 입안자들은 올해 말 공산당 당 대회를 앞두고 더욱 급격한 둔화를 막을 것”이라며 “분석가들은 인민은행이 기준금리 성격의 대출우대금리(LPR) 금리를 인하하는 등 보다 완만한 완화 조치를 취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중국 정부는 올해 3월 열릴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5% 안팎’의 경제성장률 목표를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국무원 싱크탱크 사회과학원은 지난달 2022년 경제성장률을 5.3%가량으로 예측하면서 약간의 여지를 두기 위해 ‘5% 이상’의 목표를 설정하라고 정책 당국에 공개 건의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