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도에 따르면 이번 행정명령은 후보 시절 바이든 대통령이 공약한 그대로다. 그는 첫 임기 동안 미국 노동자들이 만든 제품을 연방기관이 구입하는 데 4000억달러(약 442조원)를 투자하겠다고 약속했다. 또 외국산이면서 미국산이라고 주장하는 허위 광고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겠다고 했다. 분야별로는 후보 시절 공약대로 사회기반시설 건설 및 친환경에너지 사업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론 클레인 백악관 비서실장은 이 행정명령이 “바이 아메리칸 조항을 강화하겠다는 공약을 이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아직 행정명령의 세부사항은 전해진 바가 없다.
이를 두고 트럼프 전 대통령의 ‘아메리카 퍼스트’와 비슷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WSJ은 “구체적인 내용에는 차이가 있지만 바이든의 구상은 트럼프를 상기시킨다”고 평가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 기조를 고집하며 관세 전쟁을 일으키고 세계무역기구(WTO)와 대립했다.
외국 정부들은 울상이다. 미국의 거대한 정부 조달 시장에서 자국 기업이 배제될 수 있다는 우려 탓이다. 게리 허프바우어 피터슨 국제경제정책연구소(PIIE) 선임연구원은 “무역 상대국들은 WTO 합의에 따라 외국 기업의 미국 정부 조달에 대한 접근권을 보장하는 문구가 행정명령에 포함될지 주시하고 있다”고 했다.
|
일본도 긴장 상태다. 일본 최대 광고 회사 덴쓰의 애널리스트들은 바이 아메리칸 명령이 양국 공급망에 강력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일본 기업들에 세심하게 주의를 기울일 것을 촉구했다.
미 정부회계감사원에 따르면 미 연방기관은 상품과 서비스 직접 조달 계약에 5860억달러(약 640조원)를 지출했다. 직접 조달상 외국 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5% 미만으로 집계돼 있다. 다만, 실제 규모는 더 클 수 있다고 WSJ은 전했다.
바이든 행정부 출범에 따라 국내 통상환경 불확실성도 커질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바이든 정부는 2050년까지 5조달러를 투자해 친환경 인프라와 관련 연구개발(R&D) 등 그린 분야를 육성, 탄소배출 제로를 목표로 하겠다고 공언했다. 이에 따라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부품, 태양광 등 재생 에너지와 배터리 등 국내 산업이 수혜업종으로 꼽힌다. 반면 미 정부의 전폭적 R&D 지원을 받은 미 기업들이 경쟁력을 강화하면 우리 기업들의 설 자리가 좁아질 수 있다는 우려도 엇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