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잠버릇. 입맛. 냄새 등 변화 통해 엿 볼수 있어

조기 진단 시 치료확률 더욱 높아져
  • 등록 2017-10-30 오후 2:45:32

    수정 2017-10-30 오후 2:45:32

[이데일리 이순용 기자] 지난 9월 개봉 후 270만의 관객 (2017년 개봉 한국스릴러 영화 중 최고 흥행 성적)을 모으면서 역시 믿고 보는 배우라는 말을 증명한 설경구 주연의 ‘살인자의 기억법’이 VOD로 출시되자마자 2위에 오르며 다시 한번 화제가 되고 있다.

더불어 극의 긴장감을 더욱 높여주었던 설경구의 리얼함이 묻어나는 치매 연기로 인해 영화를 관람한 이들이 치매에 대한 관심까지 동시에 높아지는 현상을 보이기도 했다. 치매는 뇌에 있는 신경세포가 손상되어 두 가지 이상의 인지기능 장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상태를 말하는데 여기서 인지기능이라 함은 대표적인 기억력을 비롯해 주의력, 계산능력, 시공간지각력, 언어능력, 판단력, 계획력, 추론력 등을 말한다.

예전의 치매에 대한 인식은 고령으로 접어들면서 어르신들에게 생겨나는 하나의 통과의례로 여겨졌다면, 최근에는 명백한 뇌 질환이라는 인식과 함께 치료나 예방이 필요하다는 방향으로 많이 변화됐다.

즉 누구에게나 나타날 수 있지만 정확한 원인을 파악한다면 예방이나 대처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특히, 치매는 최초 치매유발물질이 쌓이고 수년~수십년 후에 나타나는 질병인 만큼, 이러한 특징을 이용해 치매 전 단계에서 조기 진단하여 치료와 관리를 한다면 충분한 개선 효과를 누릴 수 있다.

그렇다면 치매를 구분지을 수 있는 전조 증상에는 무엇이 있을까?

첫 번째는 잠꼬대이다. 누군가와 대화를 하는 듯 말을 하거나 몇몇 행동을 실행에 옮기는 등의 잠꼬대는 ‘렘수면 행동장애’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우리 몸은 꿈을 꿀 때 뇌는 활성화되지만, 팔다리 근육은 일시적으로 마비되어 우리 몸을 보호하게 되는데 ‘렘수면 행동장애’가 있으면 꿈을 꿀 때 근육이 마비되지 않아 팔다리를 움직이게 된다.

이는 곧 꿈 꿀 때 근육을 마비시키는 뇌 부위가 작동되지 않는 것을 의미하고, 퇴행성 뇌질환의 전조 증상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수면 중에 소리를 지르거나, 심하게 몸을 뒤척여 침대에서 떨어지거나, 배우자를 때리는 등의 증상이 있다면 주의해서 관찰해 보아야 한다.

다음으로는 후각 저하를 들 수 있다. 우리가 구분할 수 있는 냄새의 가지 수는 무려 1조개가 넘는다고 한다. 이처럼 민감한 후각의 기능은 뇌의 인지기능을 담당하는 영역과 거의 비슷한 위치에 있어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러한 후각에 갑자기 문제가 생겨 냄새를 못 맡는다면 뇌 기능의 저하를 의심해 볼 수 있고, 이를 치매의 전조증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것이다. 실제 일본 연구팀이 밝힌 자료에 따르면 후각 장애 발생 3년 후 42%의 사람에게서 치매가 발병했지만, 후각 기능이 정상일 땐 한 명도 발병하지 않았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입맛이 바뀌거나 미각을 잘 못 느낄 때도 의심해봐야 한다. 미각은 후각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음식물이 혀에 닿는 순간 그 맛이 혀를 자극하게 되는데 이 자극이 뇌로 이어지면서 다양한 맛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맛을 제대로 느끼지 못한다는 것은 결국 뇌에 정보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다는 것을 의미하며, 뇌 기능의 저하까지 의심할 수 있고, 치매의 전조증상일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미각이 둔해지면 섭취하는 맛에 따라 다양한 질환까지 유발 할 수 있는데, 단맛에 둔감해지면 설탕을 과다하게 섭취하게 되어 당뇨병이 나타날 수 있고, 짠맛에 둔감하면 나트륨을 많이 섭취하게 되어 고혈압, 동맥경화까지 유발 할 수 있어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세란병원 신경과 이승하 과장은 “이와 같은 증상들은 질환이 시작되기 수년전부터 나타나게 되는데 우리 몸이 보내오는 일종의 신호라고 할 수 있다”며, “이러한 변화를 나이가 먹어감에 따라 단순히 나타나는 변화라고 생각하고 방치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이 과장은 “다만 오늘 알려준 증상들의 경우 파킨슨병이나 타질환에서도 종종 발견될 수 있는 부분인 만큼 전문의와 상의하에 뇌MRI, 정밀혈액검사, 운동장애와 인지기능검사 등을 통해 정확하게 증상을 파악함으로써 질병을 조기 진단하고 치료의 가능성을 더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청룡 여신들
  • 긴밀하게
  • "으아악!"
  • 이즈나, 혼신의 무대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