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전날 금융위는 전체회의를 열고 배당 총액을 순이익의 20% 아래로 낮추라는 내용을 담은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은행 및 은행지주 자본관리 권고안’을 의결했다.
금융당국은 코로나19가 장기화할 경우, 일부 은행들의 자본 여력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어 보수적인 자본 관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현재 국내 은행들의 재무건전성이 지난해 9월 말 기준 은행의 총자본비율은 16.04%, 금융지주의 총자본비율은 14.75%로 양호한 편이지만 경기침체가 장기화할 경우는 장담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금융당국은 은행의 향후 건전성을 ‘스트레스테스트’ 방식으로 했다. 지난해 10월부터 12월까지 신한과 KB, 하나, 우리, NH, BNK, DGB, JB 등 8개 은행지주회사와 SC제일, 씨티, 산업, 기업, 수출입, 수협 등 6개 은행을 대상으로 1997년 외환위기보다 더 어려운 상황이 온다면 버틸 수 있는가를 본 것이다.
가정은 크게 장기적으로 회복하는 U자형과 침체가 길어지는 L자형으로 나뉜다. U자형은 올해 성장률이 -5.8%를 찍은 후 내년 4.6%, 2023년 상반기 5.9%로 상승하는 상황을 따졌다. 반면 L자형은 올해 성장률이 -5.8%를 기록한 후, 내년도 0.0%, 내후년 상반기도 0.9%의 상승에 그치는 상황을 가정했다. 두 경우 다 모든 은행의 자본비율은 최소의무비율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은행업 감독규정에 따르면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보통주자본비율을 4.5%, 기본자본비율을 6%, 총자본비율을 8% 이상 유지하도록 했다. 하지만 L자형 시나리오에서 상당수 은행이 ‘배당제한 규제비율’을 맞추지 못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지난해 3월 지급한 국내 4대 금융지주의 배당성향(순이익에서 배당 총액이 차지하는 비중)은 우리은행 27%, KB금융 26.00%, 신한지주 25.97%, 하나금융 25.78% 수준이다. 지방금융지주에서는 DGB금융이 21.18%고 BNK금융 20.86%, JB금융 17.05% 수준이다. 4대금융지주의 경우 배당성향이 5~7% 이상 줄어들 전망이다.
전통적인 ‘배당주’인 은행이 배당을 힘을 잃는 만큼, 주가는 약세를 보이고 있다. 28일 오후 12시 기준 코스피는 지난해 말 대비 6.9% 상승했지만 KB금융은 5.1%, 신한금융은 0.03%씩 오히려 하락했다.
|
은행권은 물론 주가 하락 압력에 대한 우려도 있지만, 구체적인 배당 권고 가이드라인이 나온 점에 대해 불확실성이 해소됐다는 분석도 있다. 금융지주 한 관계자는 “명확한 기준이 나온 만큼, 이사회 등에서도 구체적으로 논의를 할 수 있게 됐다”면서 “이제까지 구두메시지만 있었을 때는 아무래도 이사회나 주주들의 목소리를 더 따라갈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서영수 키움증권 연구원 역시 “과거와 같이 창구 지도방식으로 진행됐으면 시장 불신이 더 커질 수 있었다”면서 “은행은 보호산업이자 규제산업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특정시점에서 일정 규제는 불가피하다”라고 평가했다.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테스트 시나리오 등을 공개한 점도 과거와 달리 설득력을 높였다는 얘기다.
다만 은행권을 둘러싸고 곳간을 더 열라는 추가 압박도 있어 주가의 전망은 밝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또 다른 금융권 관계자는 “배당에 대해서는 해외 사례도 있는 데다 지난해 내내 이어진 만큼 주가에는 모두 반영이 됐다고 본다”면서도 “이익공유제처럼 새로운 이슈가 점화하면서 투자자들이 우려할 만한 일들은 늘고 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