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년 계묘년에 경상남도 시골 마을에서 시작된 새마을금고도 육십갑자를 돌아 다시 계묘년을 맞았으니 분명 축하할 만하다. 한국 금융 역사 60년을 돌아보면 더욱 그렇다. IMF 외환위기를 비롯해 카드사태, 저축은행사태 등을 겪으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진 금융사가 한둘이 아니다. 이 과정에서 대규모 공적자금이 투입되기도 했다. 신협, 수협, 농협 등 상호금융도 외환위기나 금융위기에 공적자금의 도움을 받았다. 하지만 새마을금고는 공적자금 없이도 60년을 버텨냈다. 조합원 대상 가계대출에 집중하면서 리스크를 관리해온 덕이다.
자신감이 과했던 걸까. 공격적으로 늘린 부동산 PF는 급격한 금리인상에 따른 부동산 시장 냉각에 부실화하고 있다. 4% 안팎이었던 새마을금고의 건설·부동산업 대출 연체율은 지난 1월 9.23%까지 치솟았다. 시장 상황에 따른 대처도 늦었다. 지난해 레고랜드 사태로 자금시장이 꽁꽁 얼어붙고 PF 부실 우려가 커지자 농협과 신협중앙회는 곧바로 신규 공동대출을 중단했지만, 새마을금고는 올해 4월 말에야 가계 대출을 제외한 공동대출을 제한했다.
자본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대두하면서 새마을금고에 대한 고객의 신뢰는 떨어졌다. 실리콘밸리뱅크(SVB) 파산으로 불안감이 높았던 지난 3월 농협, 수협, 신협 등 다른 상호금융 고객은 동요하지 않았지만 유일하게 새마을금고 수신잔액만 전월대비 3조원 가량 줄었다.
대체투자 시장에서 새마을금고의 위상은 최근 1~2년 새 상당히 높아졌다. 기관투자자들로부터 펀딩을 받기 쉽지 않은 신생, 중견 사모펀드 운용사들에게 거액을 척척 베팅하면서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불법적인 행위가 있었다면 결과가 좋아도 정당화될 수 없다. 검찰 수사의 칼날이 새마을금고가 투자한 사모펀드나 자산운용사들로 향하면서 자본시장이 전반적으로 위축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올해 새마을금고의 회갑연은 조촐했다. 지난달 25일 열린 창립 60주년 행사는 내부행사로 조용히 치러졌다. 10년 전인 50주년 행사를 서울 잠실 올림픽주경기장에서 임직원 3만5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대대적으로 열었던 것과 대조적이다. 금융사의 가장 큰 자산은 바로 신뢰다. 신뢰 회복을 위해 뼈를 깎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래야 10년 후 고희연을 성대하게 열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