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베이징 고위 외교소식통은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한중 FTA 서비스·투자 분야 협상에 대한) 개시선언을 할 것이다”며 이같이 밝혔다.
당초 한국과 중국은 2015년 12월 20일 FTA 발효 후 2년 안에 서비스·투자 분야 후속 협상을 완료하기로 했다. 그러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갈등이 불거지며 완료는커녕 협상을 시작하지도 못한 상태다. 그러다 지난달 31일 사드 갈등을 봉합하기로 한 ‘한중 관계 개선 관련 협의 결과’를 발표하며 양국은 해빙 물꼬를 타기 시작했다. 이 같은 긴장완화를 증명하듯 한중 양국은 정상회담 자리에서 FTA 서비스·투자부분 후속 협상을 시작하겠다고 공표할 계획이다.
또 다른 관계자 역시 “한중 FTA 발효 2주년이 되는 가운데 문 대통령의 방중도 임박하고 있다”며 “좋은 결과가 나오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또 이 소식통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나 리커창 총리, 왕이 외교부장이 공식석상에서 사드를 계속 언급하는 것에 대해 “중국이 추가로 무언가를 요구하는 게 아니라 10·31 협의 결과를 반복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우리 역시 한반도 비핵화와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이라는 원칙을 만날 때마다 반복하는 것 아니냐”며 “10·31 협의에 나온 기존 합의를 이행해야 한다는 강한, 본인들의 희망을 반복해서 이야기할 수 있는 것”이라고 반문했다.
사드 문제를 둘러싼 한중 군사 당국 간의 대화 역시 조만간 열릴 전망이다. 지난 23일 왕이 중국 외교부장은 한중외교장관 회담에서 사드 문제를 논의하는 군사 당국 간 협의를 이른 시일 내 개최하자고 제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소식통은 “(10·31에) 적절한 시기에 군사 협의를 하자는 이야기가 있었다”며 “구체적인 시기는 없었기 때문에 (왕 부장이) 다시 확인한 것”이라며 말했다. 10·31 협의문에 따르면 ‘양측은 군사당국 채널을 통해 중국 측이 우려하는 사드 관련 문제에 대해 소통하기로 합의했다’고 명기돼 있다.
이 소식통은 한중 관계가 해빙 기류를 맞고 있다는 점을 재차 강조했다. 사드 여파 이후 한국으로 향하는 중국인 단체 관광객 비자신청은 아직 없는 상태지만 개별 비자 발급 건수로 치면 11월 셋째 주 2만7668건으로 사드로 인한 반한감정이 가장 고조됐던 3월 넷째 주(1만784건)보다 두 배 넘게 급증했다.
그는 중국을 통해 내년 초 열리는 평창 동계 올림픽 기간 도발을 자제해달라는 우리 정부의 메시지를 북한 측에 전달했느냐는 질문에 “구체적으로 말할 수 없지만 중국과 한반도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를 위해 긴밀히 소통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