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생물학적 제제’다. 생물체에서 유래한 신약으로 조기 치료 시 효과가 좋지만, 보험적용, 임상경과 등 다양한 조건으로 인해 투약 시기에 대한 정의가 명확하지 않았다.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곽민섭·차재명 연구팀이 8년간의 크론병 환자 치료 효과 분석 연구를 통해 생물학적 제제의 적정 투약 시기를 새롭게 제시했다.
◇5년 사이 32%나 증가한 염증성장질환
염증성장질환은 최근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 국가를 비롯해 전 세계적으로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염증성장질환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질병코드: K50 크론병, K51 궤양성대장염 단순합산)는 최근 5년 사이 32%(2015년 5만3,274명→2019년 7만814명)나 급증했다. 식생활 서구화가 가장 주요한 증가원인으로 거론된다. 크론병과 궤양성대장염은 대부분 젊은 시절에 발병해서 평생을 치료 해야 하는 난치병으로 조기진단과 더불어 적극적인 약물치료와 생활습관 관리가 중요하다.
◇생물학적 제제 등 신약 개발로 약물치료 범위 넓어져
◇생물학적 제제의 조기 치료가 중요
◇연구팀 생물학적 제제 조기 치료 새롭게 정의
강동경희대병원 염증성장질환 연구팀(곽민섭·차재명 교수)은 염증성장질환의 ‘임상경과가 2번째 악화되기 전에 투약’이라는 생물학적 제제의 조기 치료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제시했다. 연구팀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청구 자료를 분석하여 2009년부터 2016년까지 8년간 크론병으로 진단받은 2,173명의 자료를 분석했다. 그 결과 임상적 2번째 악화되기 전에 생물학적 제제를 투약하였던 환자들이 3번째 악화 이후에 투약했던 환자들에 비해 수술율과 응급실을 경유한 입원율이 유의하게 더 낮았다.
차재명 교수는 “과거 서양의 연구결과를 기준으로 생물학적 제제의 조기 치료를 일률적으로 ‘2년 이내에 투약’하는 것으로 정의를 해 왔지만, 환자마다 임상 경과가 매우 다양해서 그 기준이 모호하다는 지적이 많았다”면서 “이번 연구를 통해 ‘임상 경과가 2번째 악화되기 전에 투약’이라는 새로운 치료 방침을 제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염증성장질환의 적정 투약 시기를 제시한 첫 번째 연구라는데 의미가 있으며, 염증성장질환을 치료하는 의사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잡지인 메디신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