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리스크 대응반은 비상경제중앙대책본부에 속한 운영반 중 하나다. 금융위와 산업부, 고용부, 기재부 등 정부 부처 외에도 5대 시중은행(국민, 하나, 신한, 우리, 농협은행)과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등 유관기관, 한국은행과 금융감독원 등이 참여한다.
특히 이번 회의에서는 특히 중소·중견기업의 자금지원과 소상공인 금융지원, 기간산업안정기금 이슈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를 했다.
먼저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의 지원 체감도를 높이기 위해 은행권과 금융당국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평가다. 은 위원장은 “금융당국은 동산담보 회수지원기구, 기업 보유자산 매각 및 매각 후 재임차(Sales & Lease Back) 활성화 등과 함께 자동차, 조선 등 주요 기간산업 협력업체의 자금조달 애로해소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5월 18일부터 접수 받고 25일부터 시행되는 ‘소상공인 2차 금융지원프로그램’을 차질없이 집행할 수 있도록 제반 준비를 철저히 해달라고 당부했다. 특히 금융당국은 신용등급별로 1~3등급은 시중은행, 4~6등급은 기업은행, 7등급 이하는 소진공에서 지원하던 1차 프로그램과 달리 2차 프로그램은 모든 은행권에서 전담하는 만큼, 은행에서 저신용자에 대한 접근성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은 위원장은 지난달 29일 산업은행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한 만큼, 기간산업 안정기금을 빨리 집행할 수 있도록 후속조치를 신속하게 이행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고용안정조건 부과와 관련하여서는, 고용안정이라는 기금조성 취지를 달성하면서도, 자금지원의 제약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합리적인 균형점을 찾아가겠다”고 말했다.
이 중에서는 음식업(19만2000건)이 가장 많았고 소매업(15만1000건)과 도매업(10만2000건), 기계 금속제조업(4만3000건)이 그 뒤를 이었다.
정책금융기관의 신규대출 보증은 26만6000건(17조1000억원) 규모였고 시중은행의 신규대출 보증은 24만7000건(15조6000억원)을 기록했다. 대출 만기연장은 정책금융기관이 1만3000건(8조5000억원), 시중은행이 5만8000건(17조5000억원)을 지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