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철기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은 20일 춘추관 회견에서 박 대통령의 전승절 참석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사실 박 대통령의 중국 전승절 참석은 예견돼왔다. 북한의 지뢰도발로 남북관계가 악화일로로 치닫는 상황에서 북한에 절대적 영향을 미치는 외교적 무게감과 함께 최대 무역상대국이라는 점은 중국의 초청을 피하기 어렵다는 ‘현실론’으로 귀결된다는 점에서다.
특히 청와대와 백악관이 지난 13일 한미 정상회담 일정(10월16일)을 조기에 동시 발표한 것도 한·미 양국이 박 대통령의 방중에 의견을 모았다는 시그널로 읽히기에 충분했다. 여기에 얽히고설킨 한·중·일 3국 관계에서의 주도권을 확보, 향후 한·중·일 정상회담 등 임기 후반기 동북아 외교에서의 동력을 얻기 위한 행보로도 읽힌다.
다만 한국전쟁 당시 우리 군에 총부리를 겨눈 중국군 1만여명이 동원된 ‘과시적’ 성격의 군사 퍼레이드에 우리 정상이 참관하는 것 자체에 대한 국민적 반감이 일 수 있고, 한·중 양국이 반일 전선을 긋는다는 오해로 미국 내 ‘중국 경도론’에 대한 오해가 커질 수 있다는 점은 여전히 부담이다. 실제 “한국을 침략했던 마지막 국가(중국)의 열병식에 한국의 대통령이 참석하는 게 적절한가”(에번스 리비어 전 미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수석차관보)라는 워싱턴의 반응은 미국이 박 대통령의 열병식 참관을 얼마나 껄끄러워하는지를 잘 보여준다.
청와대 관계자가 “양국 외교라인의 협의가 지속될 것 같다”며 고민이 만만치 않음을 시사한 이유다. 일각에서는 박 대통령이 참관은 하되 경례나 박수를 생략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박 대통령의 전승절 참석을 계기로 열리는 한·중 정상회담에도 관심이 쏠린다. 대북정책과 한·중·일 정상회담 등이 주요 의제로 오를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중국 위안화 평가절하 여파나 싸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문제 등 민감한 현안에 대한 이야기가 오갈 가능성도 있다. 박 대통령은 내달 4일 상하이에서 열리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청사 재개관식에도 참석할 예정이다. 박 대통령이 재임 중 상하이를 방문하는 건 처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