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코스피·코스닥 양대 시장의 IPO 규모가 총 4조 5426억원으로 전년(3조 3201억원) 대비 41.5% 증가했다고 18일 밝혔다. IPO기업수는 70개사로 전년(73개) 대비 소폭 감소했다. 상반기에는 코로나19 영향으로 IPO가 부진했으나 하반기엔 △빅히트(코스피·9000억원) △SK바이오팜(코스피·9000억원) △카카오게임즈(코스닥·3000억원) 등 대형 IPO 기업 증가로 전체 공모 규모가 증가했다는 설명이다.
지난해 IPO시장의 주요 특징을 살펴보면 우선 기관투자자의 수요예측 경쟁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수요예측 경쟁률은 양대 시장 평균 871대 1로 전년(596대 1)보다 46% 가량 증가했다. 경쟁률 심화로 인해 공모가격이 밴드의 상단 이상으로 결정된 비율도 80%로 전년(66%) 대비 14%포인트 증가했다.
기관투자자의 의무보유 확약 비중도 양대 시장 평균 19.5%로 전년(16.6%) 대비 2.9%포인트 증가했다. 특히 코스피는 의무보유 확약 비중이 38.3%로 전년(19%) 대비 두 배 이상 늘었다.
코스닥 시장의 기술성장(36.9%) 및 이익미실현(3%) 등 특례제도를 이용한 상장기업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의료기기·치료제 등 바이오 업종을 중심으로 전문기관의 기술평가가 필요한 기술평가 특례 비중이 60.7%(28개사 중 17개사)에 달했다.
|
기술성장·이익미실현 등 특례상장 제도를 이용한 기업도 계속 늘고 있어, 특례상장 유형 및 적용 요건, 관리종목 지정조건 유예 해당 여부 등도 확인해야한다. 상장 시점엔 증권신고서나 투자설명서, 상장 후에는 사업보고서를 통해 관련 내용을 알 수 있다. 또 올해는 코스피 시장에서도 적자 유니콘(기업 가치 1조원 이상) 기업에 대해 시가총액만으로 단독 상장이 추진된다.
금감원은 시장의 관심이 높아 공모가격이 밴드 상단 이상으로 결정되더라도, 상장 이후 고수익을 보장하지 않기 때문에 투자에 유의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실제 지난해 공모가격 상단 이상으로 결정된 56개 기업 중 상장일 종가 및 연말 종가 기준 각각 8개사(14.3%)가 공모가격을 밑돌았다. 이에 향후 사업계획 등 투자위험요소와 공모가격 산정 근거 등을 꼼꼼히 살펴본 후 투자를 결정하라는 조언이다. 여기에 기관투자자의 의무보유 확약 물량 및 기간도 상장 후 배정물량 일시 출회로 주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만큼 미리 확인할 필요가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투자자들이 공모주 투자 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충분히 얻을 수 있도록 증권신고서 기재 충실화를 유도할 계획”이라며 “투자위험요소와 공모가격 결정절차 등에 대한 충실한 실사 및 기재가 이루어지도록 주관사·공모기업에 대한 안내를 지속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