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에 남길남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기관투자자의 물량 배정에 대한 주관회사의 자율성과 책임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주관사 자율로 기관 유형별 주금납입능력 판단 기준을 설정하고 이를 확인하는 방식을 제안한다”며 “허수성 청약 시 배정물량 축소와 수요예측 제한 등 패널티를 부여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시 말해 주관회사 자율로 IPO 시장에서의 공모가 발견 기능을 강화, 자체 배정원칙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미다.
해당 방안을 놓고 박선영 동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IPO 트래킹 시스템을 통해 기관투자자를 추적하고 향후 물량 배정을 반영하는 방안은 굉장히 좋은 방안이라고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이창화 금융투자협회 전무 역시 “많은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을 증권사가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해당 시스템이 마련된다면 배정 판단 기준에도 활용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다만 업계 측에서는 증권사 자율에 맡기는 방안이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봤다. 임태훈 신한투자증권 국제영업본부장은 “IPO과정에서 주관사에 자율적 기준을 통해 개선하라고 하는데 이게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라며 “오히려 개인만이 증거금을 납부하는 현행 제도나 공모주 매도 과정에서 기관투자자들만 락업을 해야하는 불공정이 개선돼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정의 한국거래소 파생상품시장본부 상무는 “IPO 시장은 공모가격 발견과 공평배정이라는 두 가지 관점이 있는데 공평배정을 강조하다 보면 일종의 무임승차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단지 공평배정에만 너무 집중하면 시장이 제대로 작동할지 의문이 있는데, 가격 발견에 기여한 사람이 좀 더 메리트를 가져가는게 합리적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