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오희나 기자] 거래절벽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부동산 시세 조사기관들이 엇갈린 통계를 내놓고 있어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정부 조사기관은 아파트값이 하락하고 있다는 통계를 발표하고 있지만 민간 조사기관 통계는 오히려 올라가고 있다. 정부가 정부조사기관 통계를 근거로 집값이 하향국면이라고 강조하고 있지만 실제 상황은 다를 수 있어 시장에 잘못된 신호를 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단지의 모습 (사진=연합뉴스) |
|
8일 국토교통부 산하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매매가격동향에 따르면 지난주 서울 아파트값 변동률은 -0.03%였다. 하지만 민간 조사기관인 KB국민은행은 같은 기간 서울 아파트값이 0.01% 상승한 것으로 발표했고 부동산R114는 서울 아파트값이 전주대비 0.02% 올랐다고 집계했다.
연초 이후로도 공공기관과 민간기관의 통계가 엇갈렸다. 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서울 아파트값 누적 변동률은 -0.04%다. 1월 넷째주부터 하락 반전했고 6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반면 같은 기간 KB부동산 누적 변동률은 0.2%로 나타났고 부동산R114 또한 연초 이후 0.1% 올랐다. 올해 서울 아파트값이 하락한 적이 없다는 얘기다.
이처럼 공공과 민간기관의 통계 편차가 나타나는 것은 조사방식에서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다. 부동산원과 KB부동산의 주간 아파트값 변동률은 표본조사방식이다. 부동산원은 3만2000가구를 대상으로 전문조사자가 거래가능가격을 산출하고, KB부동산은 3만6000가구 표본 주택에 대해 공인중개사가 호가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조사가 이뤄진다. 부동산R114는 시가총액의 변동률을 반영한다. 서울에서 임대아파트와 세대수가 적은 아파트를 제외한 128만 가구의 개별 가격 총합을 산출해 변동을 나타낸다.
문제는 공공과 민간의 통계가 서로 엇갈리는 가운데 정부가 공공 통계만을 근거로 정책을 만들고 있다는 점이다. 자칫 잘못된 판단과 정책이 나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실제로 정부는 부동산원 통계를 근거로 서울 아파트값이 ‘변곡점을 지나 추세적 하향 국면’에 접어들었다고 진단한다.
익명을 요구한 부동산 전문가는 “부동산원 통계가 지난해 개선된 이후 이전보다 보수적으로 수치가 집계되는 것 같다”면서 “정부가 발표하는 집계다 보니 공신력 때문에 인용하고 있지만 시장에서 체감하는 것과 편차가 있어 시황을 볼땐 민간기관 통계와 섞어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해 7월 부동산원은 통계에 대한 신뢰도 논란이 일면서 표본주택수를 대폭 늘린 바 있다.
또 관마다 통계 차이가 발생하면서 시장에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 원장은 “시장은 하나인데 시장 조사기관마다 통계가 다르게 나오니 시장에 혼선을 줄 수 있다”고 지적하며 “정책 결정의 시발점이자 의사결정의 기준이 되는 부동산 통계마저 제대로 제시하지 못해 정책 불신을 초래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부동산원 관계자는 “우리가 보유한 표본으로 판단하는 시장을 통계에 정확히 반영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면서 “민간 통계는 대출 등이 연결돼 있어 약세장에서는 반영이 어려운 측면이 있다. 통계 차이가 유의미한 수준이 아니고 표본구성이나 조사방식에 따라 그 정도는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