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 치과대학 예방치과학교실 김백일 교수팀은 2012년 9월부터 2013년 6월까지 치과병원에서 1개 또는 2개의 편측 큰 어금니를 상실한 환자를 대상으로 임플란트 수술을 마친 환자 54명(남성 22명, 여성 32명, 평균연령 51.6±12.3세)의 수술 전과 수술 2주후의 저작 능력을 평가했다. 그 결과 주관적 평가법으로는 9%, 객관적인 평가법으로는 14.3% 가량 향상됐다. 측정에는 주관적 방법과 객관적 방법이 모두 사용됐다.
주관적인 평가법(Food Intake Ability test, 이하 FIA)은 환자에게 마른 오징어부터 두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경도를 지닌 30가지 식품에 대해서 환자가 얼마나 씹을 수 있는지를 직접 설문지에 답변하는 방식이다. 객관적인 평가 방법은 주사위 크기의 빨강과 녹색의 두 가지 색깔로 구성된 왁스큐브를 환자가 정해진 횟수만큼 씹게 한 후, 색깔이 섞인 정도를 분석하는 방법(Mixing Ability Index, 이하 MAI)을 활용했다.
측정결과 환자들은 주관적 평가(FIA)에서 임플란트 수술 전 82.73이던 수치가 수술 후엔 90.16으로 높아져 7.43만큼 향상됐음을 보였다. 객관적 평가(MAI)에서도 수술 전 54.72에서 수술 후 62.54로 변화됐으며 7.81만큼 향상됨을 보였다.
주관적 측정방법(FIA)을 이용해 세 가지단계의 경도로 분류된 식품섭취능력도 향상되었음을 확인했다.
익히지 않은 생당근, 땅콩 같은 딱딱한 식품군을 접한 임플란트 수술 환자들은 수술 전 보다 수술 후에 10.8%(P값 <0.0001)의 저작능력 향상을 보여 가장 큰 변화폭을 나타냈다. 환자들은 조리된 닭고기, 사과와 같은 중간 경도수준의 식품군에서는 10.0%(P값 <0.0001)의 저작능력 향상을 보였으며, 라면이나 두부 같은 부드러운 식품군에서는 3.7%(P=0.015)의 향상치를 나타냈다.
김백일 교수팀은 연구 결과가 임플란트 수술을 고려하는 환자들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저작능력의 회복정도를 구체적으로 예측해 제시하는 근거자료로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김 교수팀은 2008년부터 사람의 씹는 능력을 객관적으로 수치화 하는 방법을 연구해 왔으며 일반인들도 쉽게 이해 가능한 주관적 평가법(FIA)과 객관적 평가법(MAI)을 개발해왔다.
이번 연구논문은 국제전문학술지인 ‘JPIS‘에 ’임플란트 수복 후 단기간 내 저작 기능의 향상‘ 이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