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 구간 민자 전환…기존 민자도로 대비 통행료 30% 저렴
국토교통부는 총 6조 7000억원이 투입될 이번 공사의 전 구간을 민자사업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그러나 사업 추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이르면 내년 말 공사에 들어가 2022년 완공 예정인 서울~안성 구간(71㎞)은 한국도로공사가 설계 등 공사절차를 우선 진행한 뒤 민자로 전환할 계획이다. 안성~세종 구간(58㎞)은 민간 제안과 동시에 일반 민자사업으로 추진해 2020년 착공, 2025년 개통을 목표로 잡고 있다.
도로공사가 사업을 시작할 서울~안성 구간은 내년 이후 민자 적격성 검토와 사업자 선정 등 민자사업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우선 내년까지 기본·실시설계를 마치고 각 구간별로 턴키(일괄 수주) 발주와 설계 후 입찰 발주 등으로 나눠 공사 방식을 결정한 뒤 민간사업자 참여 신청을 받게 된다. 전 구간을 민자사업으로 전환하는 시기는 2019년으로 잡고 있다. 그 이전까지 도로공사가 투입한 자금은 민간 투자를 받아 회수할 방침이다.
민자사업 방식은 정부와 민간 사업자가 리스크를 분담하는 손익공유형(BTO-a)모델이 검토되고 있다. 국토부는 이 방식을 적용할 경우 기존 민자도로와 비교해 통행료가 최소 30%가량 낮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현재 민자도로는 공공에 비해 1.8배 비싼 수준이다. 국토부는 서울~세종 고속도로 통행료는 공공 대비 1.24배 이하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고속도로 건설에 따른 경제적 파급 효과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국토부는 서울~세종 고속도로 건설로 일자리는 6만 6000여개 만들어지고 생산 유발 효과가 약 11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한다. 가장 눈에 띄는 도로 개통 효과는 서울~세종 간 차량 통행시간 단축이다. 현재 차를 타고 이 구간을 지나기 위해선 평일 108분, 주말 129분이 걸린다. 그러나 고속도로가 연결되면 74분이면 서울에서 세종까지 갈 수 있게 된다. 통행시간이 지금보다 30~40% 줄어드는 것이다. 수도권 동북부에 사는 주민이라면 KTX를 타지 않아도 최대 1시간가량 이동 시간을 아낄 수 있다.
서울~세종 고속도로가 뚫리면 교통 정체가 심각한 경부·중부고속도로의 혼잡 구간 역시 60% 가량 줄 것으로 예상된다. 혼잡도 감소로 이들 고속도로의 차량 운행속도는 약 10㎞/h 빨라지고 시간 단축에 따른 편익도 연간 8400억원 가량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고속도로가 지나는 곳 중 나들목(IC)이 설치되지 않는 지역은 환경 파괴만 초래할뿐 아무런 실익이 없다는 지적도 있다. 남한산성 도립공원 일부가 포함될 것으로 알려진 경기 성남에서는 벌써부터 자연 및 문화재 훼손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하남지역의 경우 기존 중부고속도로에 서울~세종 고속도로까지 건설되면 통행 차량이 급증해 교통 혼잡이 가중될 수 있다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
운전석에서 서류 볼 수 있는 ‘스마트 하이웨이’ 구축
운전자는 ‘스마트 톨링’ 시스템 구현으로 서울~세종 고속도로 요금소를 지날 때 통행권을 따로 뽑을 필요도 없다. 스마트 톨링은 과속단속 카메라처럼 고속으로 달리는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해 ‘톨링 존’을 지나면 요금이 자동 결제되는 방식이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요금소 부근 교통 정체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김일평 국토부 도로국장은 “서울~세종 고속도로는 미래형 첨단도로로 이용자들에게 편리하고 안전한 서비를 제공할 것”이라며 “미래형 첨단도로에 민간 금융기법을 결합한 맞춤형 패키지 전략으로 도로 교통 산업의 해외 진출 확대 효과까지 기대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