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오전 11시30분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민원동 대회의실은 ‘챗GPT의 미래와 경제정책 시사점’ 특강을 듣기 위해 점심 시간을 반납한 기획재정부 직원들로 가득했다. 당초 소규모 브라운백 세미나 방식을 구상했던 기획조정실은 150명에 달하는 신청자가 몰리자 행사를 특강 형태로 바꿔 더 넓은 장소를 물색했다. 45분 간 계획됐던 특강이 1시간을 훌쩍 넘겨 끝났지만 자리를 뜨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관련 실무자들의 질문이 이어지면서 질의응답 세션도 할애된 시간을 넘겼다.
|
우리나라에서도 AI가 가져올 격변에 대응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특히 정부는 전용 초거대 AI를 도입해 공공서비스에 통합 적용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인재 육성을 위한 재정투자를 확대하는 추세다. 그러나 거짓 답변을 완벽히 막을 수 없는 알고리즘상 신뢰성 문제, 정부 데이터 학습 과정에서의 기밀 유출 문제 등 시스템적인 우려도 뚜렷하다.
이날 세미나에 연사로 참석한 인공지능 전문가 이경일 솔트룩스 대표는 저출산·고령화가 급격히 진행되고 있는 우리 사회에서 초거대 AI의 중요성은 더 크다고 강조했다. 그는 “에러율이 0.01%도 되지 않는 우리나라 인구분포표에 따르면 20년 후 노동인구가 절반으로 줄어든다. 이는 근로소득을 내는 사람이 절반으로 줄어든다는 것”이라며 “AI가 똑똑해서가 아니라 일할 사람이 없어지는 문제 때문에 미래 지적노동을 AI로 자동화하는 건 피할 수 없는 수순”이라고 설명했다.
강연이 끝난 뒤 이어진 질의응답에서는 가짜 정보를 진짜처럼 소개하는 ‘할루시네이션(환각)’에 대한 한계가 지적됐다. 잘못된 정보에 기반해 거시 정책을 결정했을 때 민생에 미치는 충격은 경제 전반의 부담으로 확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이 대표는 “사용자의 질문과 관련해 정보를 찾아 이를 사전학습한 AI와 대화하도해 오류를 줄이는 ‘안티 할루시네이션’ 기술이 적용되려고 한다”면서 “답변의 근거가 되는 문서를 참고문헌 형식으로 제공해 사용자가 판단할 수 있도록 돕는 체계도 있다”고 소개했다.
정부 데이터 보안 문제에 대한 질문에는 “챗GPT같이 장기적으로 모든 사람들이 사용하도록 하는 전략을 가져가고 있기에 유출을 막기 어렵겠지만, 작은 회사들의 경우 데이터가 넘어가지 않도록 망 안에서 좁고 깊게 관리하는 비즈니스 모델이 있다”고 답변했다. 또 “AI와 관련된 문제들이 완전히 해소되진 않을 거라고 보지만, 전체 사회적 효용성이 AI가 만들어낸 부작용보다 커지는 순간 결국 기술을 선택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