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과 함께 올해 네번째(3월 26일)와 다섯번째(3월 27일) 수도권 비상저감조치가 내려진 기간을 포함한 지난달 22일부터 지난달 27일까지의 고농도 초미세먼지 현상 발생 원인 분석 결과를 9일 발표했다.
국립환경과학원이 수도권 집중 측정소의 관측 자료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고농도 미세먼지 현상이 발생한 지 얼마 안된 초기(3월 22일~24일)에는 중국발 미세먼지 등 국외 영향이 58~69%로 과반수 이상을 차지했으나 후반기(3월 25~27일)에 들어서는 32~51%로 그 비중이 점차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초반 국외 미세먼지의 유입 비중이 컸다고 분석한 것은 △이동성 고기압으로 인해 국외 미세먼지가 유입될 수 있는 기상조건이 형성되었고 △백령도와 서울에서 미세먼지 농도가 급격히 증가했으며 △일본의 미세먼지 농도가 동시 증가했고 △국내 배출원이 비교적 적은 황산염 성분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나서다.
이 기간 중 초미세먼지의 일평균 농도가 최고값(경기 102㎍/㎥·서울99㎍/㎥)을 보인 3월 25일의 경우, 평균적으로는 국외 영향과 국내 비중이 각각 51%와 49%로 유사한 비중을 차지했다. 다만 오전 시간에는 국외 영향이 51~70%로 비교적 더 우세했고, 오후 들어서는 국내 요인의 영향이 59~82%로 더 우세했던 것으로 분석됐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지난달 22일과 24일에 국외 미세먼지가 유입된 것에 이어 지난달 25일부터 26일 국내 대기오염 배출 효과가 더해져 ‘2차 미세먼지 생성’이 발생하면서 고농도 미세먼지 현상이 이어진 것으로 분석했다.
2차 미세먼지 생성이란 대기 중 가스 상태로 배출된 황산화물(SOx)과 질소산화물(NOx) 등 오염물질이 물리, 화학반응을 통해 미세먼지로 전환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앞서 국립환경과학원은 지난 1월 발생한 고농도 초미세먼지 현상(1월 15~18일) 원인 분석 결과 발표 당시에는 대기정체로 인한 국내 미세먼지 발생 요인의 비중이 컸다고 밝힌 바 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지난달 발생한 고농도 초미세먼지 현상은 국외 요인과 국내 요인이 복합적으로 얽혀 발생했다는 점에서 1월 고농도 미세먼지 현상과 차이를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