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이러한 부채 급증 현상이 코로나19 이후에 발생한 일시적인 현상만은 아니라는 점이다. 올해 초 세계은행이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경제는 과거 50년동안 네 번의 부채 급증의 파도가 몰아쳤고, 앞선 세 번은 금융위기로 종결되었다고 지적한다. 80년대 남미 외채위기, 90년대 아시아 금융위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는 급격한 부채 증가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네 번째 부채 급증의 파도는 2010년부터 일고 있다. 우려되는 점은 최근의 부채 급증이 과거에 비해 규모가 크고 속도도 빠르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의 부채 급증이 금융위기로 이어지지 않는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각국이 규제 개선 등을 통해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였고, 이자율도 낮게 유지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코로나19사태에 따른 전세계 국가의 급격한 국채 발행 확대는 단기적으로 부작용을 불러오고 있다. 올해 초부터 미국의 장기 국채금리가 급격히 상승했다.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과 유동성 공급 확대에 따른 인플레이션 압력 및 국채 발행 확대로 인한 수급 불안정이 금리 상승의 압력으로 작용했다. 이러한 미국 국채 금리 상승은 국가간 금리 동조화의 현상으로 다른 나라의 금리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 우리나라도 국채 발행 확대에 따른 수급 부담과 미국 장기국채 상승의 영향으로 금리가 상승하고 있다. 금리 상승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금리 수준은 과거에 비해 크게 높은 수준이 아니고 최근 들어 다소 진정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향후 미국의 확장적 재정정책이 긴축으로 선회하고, 경제 회복에 발맞추어 기준금리를 올리면 우리나라를 포함한 소규모 개방경제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코로나발 경제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의 국채 발행 확대를 통한 재정투입 확대는 단기적으로 경제 회복에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반면 부담도 늘어났다. 향후 국가부채 확대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려면 과거의 금융위기를 반면 교사로 삼아야 한다. 부채가 급증한 상황에서 금융시스템의 불안정성과 이자율의 급격히 상승이 위기를 불러오는 단초가 될 수 있다. 금융시스템을 안정시키고, 탄력적인 재정 운영을 통해 재정 투입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한편 점진적으로 국가부채를 관리하는 혜안이 필요한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