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신기루 같은 '탐욕 경제'

  • 등록 2017-12-26 오후 5:19:16

    수정 2017-12-27 오전 11:10:47

서울 중구 이데일리 본사 비트코인 이미지. 사진=신태현 기자


[이데일리 김정남 기자] 지난 10월 어느날 출근길, 아내의 우울한 문자를 받았다. “XX네 단지 아파트가 요즘 9억원에 팔린다네.” 순간 눈을 의심했다.

XX씨는 아내의 지인이다. 5년 전 XX씨는 서울 시내에 위치한 20평대 브랜드 아파트를 4억원 중반대에 무리해서 샀다. 2억원 이상 대출을 끼고서다. 그때 전셋집을 구한 우리 부부는 “간도 크다”고 놀라워했고, 그 부부는 “빚 갚느라 힘들다”고 토로했다.

상황은 완전히 뒤바뀌었다. 4억5000만원에서 9억원. 5년간 정확히 두 배 올랐다. 1년에 1억원꼴. 계산기를 아무리 두드려봐도, 월급 모아서는 만질 수 없는 돈이다. 솔직히 부러웠고, 한편으로는 혼란스러웠다.

얼마 지나지 않아서다. ‘더 센 녀석’이 나타났다. 비트코인의 폭등세는 아파트에 비할 바가 아니었다.

지난 7월 즈음으로 기억한다. 지급결제 쪽에 밝은 한 고위당국자에게 “도대체 비트코인이 무엇이냐”고 물었다. 그 인사는 대뜸 “김기자, 공부하는 셈치고 하나 사봐”라고 권유했다. 그때 가격이 100만원 정도였다. 그 뒤는 우리가 봤던 그대로다. 이번달 초 2500만원까지 치솟았다. 그때 당시 “뭐 그런 걸 100만원씩이나 주고 사냐”며 콧방귀를 뀌었던 게 지금도 후회된다.

비트코인 광풍(狂風)은 우리나라가 유독 심하다고 한다. 블룸버그통신은 “한국만큼 비트코인에 빠진 나라는 없다”고 했다. 뉴욕타임스도 “전세계에서 투자 열기가 가장 뜨거운 곳은 한국”이라고 했다. 금융위기 이후 초저금리에 돈이 많이 풀린 건 어느 나라나 똑같은데, 왜 그럴까. 기자는 언제부터인가 우리 사회에 탐욕(greed)이 스멀스멀 자라고 있다는 걱정이 든다. 1억원짜리 집이 반 년도 안 돼 25억원까지 올랐다면, 이건 상식적인 투자라고 볼 수 있는가.

이 즈음 되면 탐욕이 만든 과거 최악의 경제 위기를 떠올리지 않을 수 없다. 미국의 대공황은 지난 1929년 10월 28일 월요일 아무런 예고없이 시작됐다. 그 끔찍한 재앙은 긴 설명이 필요없을 것이다. 1929년 3%였던 실업률은 바닥까지 추락했던 1933년 25%에 달했다. 농업을 제외한 실업률은 무려 37%. 도시 근로자 세 명 중 한 명은 백수일 정도로 경제는 파탄 났다.

대공황 직전에는 어땠을까. 미국의 1920년대는 마치 축제 같았다. 주식시장에서, 부동산시장에서 돈을 벌고 또 벌었다. 그 돈이 순식간에 사라질 것이라고 누가 예상이나 했겠는가. 따지고 보면 17세기 네덜란드 튤립 버블도,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도 똑같았다. 그 이면에는 이성을 흐리는 탐욕이 자리했다. 돈이 돈을 버는데, 합리성이 자리할 곳이라고는 없었다.

이제 새해다. 앨런 그린스펀 전 연준 의장의 말마따나 우리 사회에 ‘비이성적 과열’은 없는지 찬찬히 곱씹어볼 때다. 신기루 같은 투기판의 끝은 역사가 증명하고 있다. 우리나라라고 그런 비극이 일어나지 말라는 법이 없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몸짱 싼타와 함께 ♡~
  • 노천탕 즐기는 '이 녀석'
  • 대왕고래 시추
  • 트랙터 진격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