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유한국당 정당개혁위원회가 22일 개최한 ‘블록체인 민주주의’ 세미나에 발제자로 나선 조희정 서강대 사회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의 설명이다. 전날엔 바른미래당에서 ‘블록체인 정당 ’을 주제로 한 세미나가 열리는 등 최근 정치권에 블록체인 기술 바람이 불고 있다. 정당 운영의 투명성, 효율성 제고를 위해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하려는 시도다.
생소한 블록체인을 대하는 두 당 지도부의 의지도 남달랐다. 김병준 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은 “블록체인은 새로운 기술 정치 접목 차원에서 반드시 눈을 부릅뜨고 지켜보고, 어느 당보다 먼저 주도권을 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 역시 “정치권이 시대적 조류에 뒤처져선 안 된다”며 “4차 산업혁명 기술을 발 빠르게 수용해 정당구조와 의사결정 과정을 더욱 민주적이고 효율적으로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 정당사에서 블록체인은 아직 낯선 존재다. 하지만 유럽 정치권 일부에서 이미 그 기술이 통용되고 있다. 대표적 정당이 2014년 창당한 스페인의 진보정당 ‘포데모스’(Podemos)다. 스페인 하원의 12%(43석), 유럽의회 54석 중 5석 등을 차지하고 있는 포데모스는 블록체인을 접목한 온라인 투표로 공천·정책결정·집행부 선출까지 진행 중이다. 이밖에 스위스와 에스토니아 등에서도 블록체인을 정치에 접목하고 있다.
|
숙제는 생태계를 만드는 것. 블록체인은 도구일 뿐 플랫폼 자체는 아니기 때문이다. 과거 더불어민주당은 ‘정감마켓’, 자유한국당(당시 새누리당)은 ‘크레이지 파티’라는 정치 플랫폼을 만들었다. ‘청원기능’, ‘주요 정책 찬반’, ‘법안 사고 팔기’ 기능을 투입했지만 지속적인 호응을 받지 못한 채 사라졌다. 정치권과 블록체인 업계는 이를 두고 “흥미, 보상 등 유인요인이 없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조희정 연구원은 “정치권에서 블록체인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정당화폐 발행을 생각해볼 수 있다”면서 “물질적·비물질적 활동에 대한 보상책을 통해 더 많은 사람이 정치 플랫폼에 진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조 연구원은 “법·제도가 따라준다면 이와 같은 가상화폐를 정치후원금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며 “추적이 가능한 구조 특성상 모금부터 지출까지 투명하게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