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팀장은 “위안화 국제화 추세에 대응하고, 원화 무역결제 활성화 등을 위해 원-위안화 직거래 시장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홍콩, 영국, 싱가포르 등도 위안화 직거래를 통해 위안화 역외허브를 구축하기 위해 경쟁하고 있다.
무역·금융거래 등에서 수출입기업 및 금융기관의 환전수수료 등 거래 비용이 낮아지고, 새로운 영업 기회가 만들어질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무역결제 통화가 다양해짐으로써 달러에 대한 의존도도 낮아질 전망이다.
원-위안화 직거래 시장이 성공적으로 안착되기 위해선 위안화가 안정적으로 공급돼야 한다. 이 팀장은 “상당 크기의 원-위안 거래수요가 잠재해 있다”며 “대중 무역흑자 기조에 따라 국내에 위안화가 공급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한·중 무역규모는 2289억달러인데다 628억달러 무역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원-위안화 직거래의 성공 가능성은 과거 실패했던 원-엔화 직거래 사례와도 차별된다는 게 이 팀장의 설명이다. 원-엔화 직거래 시장은 1996년 10월 개설됐으나 4개월 만에 폐쇄됐다. 원-엔화 거래 규모가 개설 당시 일평균 4억엔에 불과했다. 문을 닫기 한 달 전엔 1억9000만엔 정도로 내려앉았다. 국내에서 거래되는 엔화가 절대적으로 부족했기 때문이다. 대중 무역거래 비중은 지난해 1~9월 27.0%인데 비해 1996년 대일 무역거래 비중은 16.9%에 불과했다. 차라리 원화를 달러로 바꾸고 그것을 다시 엔화로 바꾸는 거래가 상대적으로 더 효율적이었을 정도였다.
다만 달러-엔의 국제거래 비중은 지난해 17%인데 비해 달러-위안화의 비중은 2%에 불과하다. 또 원-위안화 직거래 시장이 우리나라에 먼저 개설되고 중국엔 향후 시장 개설 여건이 마련된 이후에야 개설되는 한계점도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외국환거래규정은 비거주자들의 국내 원화계좌 간 이체를 허용하지 않고 있다. 원화는 우리나라에서만 거래될 뿐, 해외에서 거래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 셈이다. 중국에 시장을 개설하려면 외국환거래규정을 개정해야 하는데 이럴 경우 원화 변동성이 커지는 문제가 있어 고민이 더 필요한 부분이다. 그는 “외환당국 입장에선 역외에서 원화가 자유롭게 거래될 때 안전하게 거래될 수 있느냐에 대해선 조심스럽다”며 “중국 상하이에 원-위안화 시장이 개설되면 더 활발해질 수 있지만, 아직은 약한 부분이고 더 논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 팀장은 연내 원-위안화 중개거래 시스템을 개설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현재 서울외국환중개 등을 통해 달러-원이 거래되는 것과 유사한 방식이다. 또 지난 달 초 개설된 ‘원-위안화 직거래 시장 개설 TF’에서 시중은행을 대상으로 시장조성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시중은행들의 반응이 폭발적이란 게 그의 설명. 시장조성자는 원-위안화 직거래 시장의 정착을 위해 일정량의 위안화 매수 또는 매도하는 역할을 할 전망이다. 이 팀장은 “시장조성자를 가능하면 많이 만들 생각”이라며 “처음 거래가 시작될 때 머뭇거릴 수 있는데 스프레드(금리 차)를 얼마나 줄여줄 수 있는지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이 팀장은 “중국 경제성장률에 대한 고민과 자본시장 개방 여부 등이 원-위안화에 미치는 영향이 클 수 있다”며 “중국이 자본시장을 개방하면 오히려 (중국)안에서 밖으로 나올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우리나라로 몰려 올 경우 충격이 클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