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형환 기자]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미 오픈AI가 만든 대화형 인공지능(AI) 챗봇인 챗GPT에 대해 암기 중심 교육체계를 가진 한국에 치명적이라며 근본적인 교육개혁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교육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있다. (사진=연합뉴스) |
|
이주호 부총리는 16일 국회 교육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챗GPT에 대한 긍정적·부정적 측면을 묻는 이태규 국민의힘 의원의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챗GPT는 전문가 수준의 문서 작성이 가능하다. 특히 과제물·논문 대필까지 가능해 교육 현장에선 학습과정에서의 AI 활용범위에 대한 논란이 뜨거운 상황이다. 챗GPT의 등장으로 교육환경에 급격한 변화가 예상되며 교육부는 공개포럼을 여는 등 챗GPT 관련 연구에 나섰다.
이 부총리는 챗GPT 등 AI 신기술에 대비해 교육방식 자체를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챗GPT와 같은 AI 기술은 한국처럼 지식 전달에 집중하고 암기력을 요구하는 학습체계를 가진 국가들에게 큰 타격을 줄 것”이라며 “근본적으로 교육체계를 학생들이 답하는 것이 아닌 질문하도록 만들어야 이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를 계기로 삼아 챗GPT 등 AI 기술을 금지하는 것이 아닌 활용할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 부총리는 “(챗GPT를) 금지했던 미국 일부 대학에서 ‘금지하는 것이 장기적으로는 미봉책에 불과하다’는 반성이 나오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근본적인 교육에 대한 설찰이 필요하고 이를 계기로 교육개혁의 큰 자극제로 삼아야 한다”고 부연했다.
유기홍 국회 교육위원장은 “챗GPT가 등장하면서 여러 부작용들은 예상됐던 문제”라며 “각계 전문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등이 함께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교육부에 대책을 촉구했다. 이에 서유미 한국교육학술정보원장은 “현재 내부적인 토론, 정책연구, 전문가 정책연구 등을 지금 추진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주호 부총리 역시 “디지털교육국이 신설돼 챗GPT 관련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고 말했다.